학술논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18
- 영문명
-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on the Soccial Capita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옥(Park, SangOk) 함은혜(Ham, EunHye) 김훈호(Kim, HoonHo) 이재준(Lee, JaeJ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3호, 65~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27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평생교육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근 3년 간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과 그렇지 않은 성 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 참여는 성인들의 사회적 자본 중 ‘네트워크’와 ‘주인의식’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사적신뢰’ 및 ‘공적 신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삶의 질’ 수준을 통제할 경우 ‘주인의 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네 가지 사회적 자본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삶의 질’ 수준을 통제할 경우 사회적 자본의 하위 영역 중 ‘주인의식’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평생교육 참여의 효과가 삶의 질 수준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평생교육 참여가 주인의식이나 네트워크 등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지속 적인 관심과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programs have an effect on building social capital. Approximately 700 females and males participated in our surve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had a positive impact on increasing social capital,
specifically network as well as citizenship. After controlling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was significant only for network. Second, for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levels of citizenship once
controlling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practical expectation of lifelong learning for enhancing social capital was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과정 글쓰기 교재 개발 및 효과 검증
- 전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동기강화 모델을 적용한 복습 프로그램 실행연구
- 대학 댄스스포츠 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신감과의 관계에서 자기관리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 동영상 학습에서의 대학생 동공 반응 분석
- 원격협력학습을 위한 초등 영어교과서 문화내용과 학생요구 분석
- 유아의 실행기능에 대한 아버지 양육과 유전자(DRD2)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연구
- 학생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대학 생활 만족도 제고
- 초등사회과 인권수업 사례 연구
- 어린이집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의 의미
- 우리나라와 핀란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통해 본 구체물과 추상적 개념의 도입 방식
- Classroom Practices Under th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Policy
-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관련변인의 구조적 관계
- John Dewey 학습관에 따른 “학습사회”의 개념 탐색
-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비교과교육과정 및 비교과졸업인증 인식에 대한 혼합연구
- 읽기성취 수준별 어휘능력과 읽기이해력 간의 관계 분석
- 미술관 서포터즈 활동이 미술인식의 변화와 자기계발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초등 3~4학년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대학생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생선수의 체조부 활동 경험과 의미
- 대학 글쓰기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수업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문화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분석
-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나누기 활동 자리배치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특성 분석
- 중ㆍ장년 실직자의 정서적 안정감과 구직강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동향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