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 직업가치관 측정도구 개발
이용수 428
- 영문명
- Development of Work Value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남경(Gim Nam gyeong) 정진철(Jeong Jin Chul)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1권 제1호, 111~14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을 측정하기 위한 객관화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학 박사 3인, 석사 2인, 10년 이상의 현직 교사 5인, 총 10인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구인화 과정, 국외문항 번안과정, 문항 수정과정에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직업가치관 정의를 내리고 측정문항 18개를 개발하였다. 개발문항은 크게 내재적·외재적 구성요인으로 나누어지며 다시 6개의 하위요인별로 나누어진다. 개발된 18문항이 적절한 요인 및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국 8개 초등학교의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고, 이상치 8부를 제외한 420부를 사용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범주 6요인 18문항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문항의 타당화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
석을 실시하였다.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모두 양호한 모델적합도 지수와 모델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내재적 직업가치관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은 독창성, 만족성, 이타성이며 각각 3문항씩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외재적 직업가치관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은 발전성, 안정성, 대가성이며 각각 3문항씩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내·외재를 합쳐 6요인, 총 18문항을
초등학생용 직업가치관 측정도구로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측정도구는 직업가치관 하위요인별로, 내·외재별로, 총 합별로 모두 사용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하위요인별로 상충되는 현재의 직업가치관 측정방식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bjective scale to measure work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expert group consisting of 5 field experts, and 5 elementary teachers verified content validity.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nd the composition of the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ata from 420 students in the age range of 5th grade and 6th grade from 8 elementary schools, and finally 18 items were extracted. To validate the scale, data from 420 students wer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scale was confirmed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onstruct were verified. The final scale consists of 2 categori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and 6 factors including originality, satisfaction, altruism, promotion, stability, and compensation. This scale reflects the trend of intrinsic or extrinsic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부 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