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성 계발을 위한 열린 실과 교수-학습 모형과 자료개발
이용수 61
- 영문명
- Designing an Instruction Model and Materials for Practical Arts Subject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방자(Lee Bang Ja) 정미경(Jung Mee Kyung) 전세경(Jeon Se Kyung) 김영애(Kim Young A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3권 제1호, 73~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instruction model and materials for Practical Arts Subject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students through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 model and materials with applicating them to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39 students of 3rd to 6th grade from 16classes.
In this study, researchers designed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of Practical Arts based on Osborn-Parnes-Treffinger’s CPS model which is capable of developing both the creativity and the problem-solving ability.
The process of this model was ‘Problem Recognizing’ - ‘Problem Finding’ - ‘Idea Finding’ - ‘Problem Solving’ - ‘Application and Expansion’. Researchers applied the developed materials and teaching plan in this study to the experimental classes while the comparison classes were received the typical instruction with the same content at the same period. The experimental class student showed higher creativeness score than the comparison class students, and the originality of student was remarkably developed through CPS model of Practical Arts subjec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요약ㆍ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실과 실기능력 인식에 관한 연구
- 한국실과교육학회 입회원서 외
- The Contrast and Application Strategy of the Project Approach and the Problem Solving Approach in Technology Education of Practical Arts
- 실과교육 활성화를 위한 웹(Web) 기반의 전자도서 개발
- ‘생활양식’의 고찰을 통한 실과교육 목적의 재개념화
- 창의성 계발을 위한 열린 실과 교수-학습 모형과 자료개발
- 실과학습의 생활화의 관련 변인
- 초등학교 교재원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진로의식과의 관계 분석
- 실과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