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실과 실기능력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abou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Prospective Teacherson Their Practical Arts Skill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세경(Jeon Se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3권 제1호, 95~10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prospective teachers on their practical skills included in th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One hundred and seventy five Seniors enrolled nationwidely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employed as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data were obtained by questionnaires which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from December, 10 to 25, 1999.
The data were analyzed first by finding the mean score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and then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in the group differenc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overall responded “I am confident” with the mean score of 3.79 in the perception on their Practical Arts skills. The degree of students’ confidence was higher in order of computer domain, home economics domain, industry domain, and agriculture domain. There have not been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omains of practical skills and between the contents of the grade levels. However, there have been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ally between concentration areas (majors) in favor of the concentration area of Practical Ar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실과 실기능력 인식에 관한 연구
- 한국실과교육학회 입회원서 외
- The Contrast and Application Strategy of the Project Approach and the Problem Solving Approach in Technology Education of Practical Arts
- 실과교육 활성화를 위한 웹(Web) 기반의 전자도서 개발
- ‘생활양식’의 고찰을 통한 실과교육 목적의 재개념화
- 창의성 계발을 위한 열린 실과 교수-학습 모형과 자료개발
- 실과학습의 생활화의 관련 변인
- 초등학교 교재원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진로의식과의 관계 분석
- 실과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