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이 실과 과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1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on Student’s Performance Achievement of the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유현(Choi Yu Hyun) 류혜남(Ryu Hye Nam) 나길수(Na Gil Su)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2권 제2호, 981~99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on student’s performance achievement in word processing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 for experiment was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 used a quas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o determine the effec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on student’s performance achievement in word processing.
In conclusion, the constructivism classroo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for improving of learning task performance of word-processing in Content Organizing and Task Performance in Time for word-processing.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tent Design Briefing and Software Operating for word-processing. Based up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onstructivism learning environments for increasing the ability of task performance should be carefully applied to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의 결과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이 실과 과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실과 수행중심 수업전략의 개발과 적용
- 실과 교과서 평가 기준안 및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실과교육에서의 ‘기능’ 개념에 대한 고찰
- 실과의 서술식 평가 모형과 적용 지침 개발 연구
- 교육대학교의 효율적인 정보화교육을 위한 컴퓨터 교육과정 모형
- 실과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실과 교수 방법의 개선을 위한 수업모형 탐색
- 교사와 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실과 교수-학습 방법의 대안 탐색
- 초등교사, 학교관리자 및 교육행정가의 실과교육에 관한 인식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Critical Review of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 Confirmation Bias in the Age of AI and Educational Approaches for Moral Metacognition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