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彦陽地域 梁山斷層 附近 斷裂의 幾何 分析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geometric analysis of fractures near the Yangsan fault in Eonyang a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장태우(Tae Woo Chang) 장천중(Chun Joong Chang) 김영기(Young Ki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26권 2호, 227~23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ineaments in the Kyungsang basin most intensely develop in the East coast domain including the Yangsan fault, which dominantly run in NNE direction. The geometry of small fault population near or along the Yangsan fault represents the dominant strikes of N35E, high angle dips and shallowly plunging rakes with dextral movement sense. Stereographic solution on the Yangsan fault geometry gives the dip of 88SE, the slip direction of 17,024 and the slip rake of 18, which were determined from the strike (N23E) of the fault measured on map, and the average attitude (N35E, 84SE) and fault striation (16,037) of small fault population considered as Riedel shears. It is judged from the geometry of small fault population to the main Yangsan fault and dragging features of bedding attitude near the fault that the Yangsan fault was produced from dextrally strike-slip movement.
The movement of the Yangsan and the adjacent parallel faults is thought to be taken place much later than the other fault sets in the Kyungsang basin. It might occur during the geologic age from Eocence to early Miocene according to the consideration of K-Ar ages of the igneous rocks near the fault. The estimated paleostress state indicates ENE shortening and NNW extension. The displacement of the Yangsan fault in the study area is not constant along the fault but decreases from the south to the north. Taking the northern end of the study area as a separating point the whole extension of the Yangsan fault may be divided into southern and northern segments.
목차
ABSTRACT
序言
地質
線狀構造(Lineaments)
小斷層群의 幾何
古應力 配向 推定
考察
結論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양-승주지역 금은광상의 광화작용
- Boulangerite from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of ore-forming minerals in the Janggun lead-zinc-silver ores (2)
-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 Geochemistry of fluid inclusions of W, Cu and Au-Ag ore deposits in South Korea and its significance
- Fission track zircon ages of the igneous rocks in the Hamyang-Geochang area, South Korea
- 한국 중부지역 금은광상산 섬아연석의 조성변화와 성인적 특성
- 수정된 kriging법을 응용한 다목적지구통계모델의 개발 및 타당성 검토
- 彦陽地域 梁山斷層 附近 斷裂의 幾何 分析
- Occurrence and geochemistry of argyrodite, a germanium-bearing mineral(Ag₈GeS₆, from the Weolyu Ag-Au hydrothermal vein deposits
- 金浦지역 大同累層群에 대한 古磁氣 연구
- 장항제련소 지역 토양과 분진중의 Cu, Pb, Zn, 및 Cd의 지구화학적 분산과 산출상태
- 해남 옥매산-성산광상 acid-sulfate 변질대에서 금 함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