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in stream sediments in the vicinity of the Sambo Pb-Zn-barite mine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상현(Sang Hyun Kim) 전효택(Hyo Taek Chon)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26권 2호, 217~22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tream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vicinity of the Sambo Pb-Zn-barite mine in order to investigate dispersion patterns and pollution levels of heavy metals, and to find out their mode of occurrences. Those samples were analyzed for Cd, Cu, Pb, Zn, Fe, and Mn by using partial extraction and sequential extraction methods. Stream sediments of this studied area has been contaminated severely by Pb, Zn, and Cd. Dispersion patterns of heavy metals in those sedimen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llution source and sampling distance from the mine.
The stream sediment pH is generally neutral in control area, and is slightly acidic in the lower part of tailing dam. The main pollution source of stream sediments was confirmed as tailing and mine drainage. Their pollution level depends mainly on inflowed water and distance from the mine. The tolerance index ranges from -0.9 to 0.7. The mode of occurrances of heavy metals in polluted stream sediment are identified as Fe-Mn oxides, organic bounded and carbonate-bounded compound which show high potential of bioavailablity.
목차
ABSTRACT
서론
지형 및 지질
시료채취 및 처리
pH 측정
화학분석
분석결과 및 고찰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양-승주지역 금은광상의 광화작용
- Boulangerite from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of ore-forming minerals in the Janggun lead-zinc-silver ores (2)
-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 Geochemistry of fluid inclusions of W, Cu and Au-Ag ore deposits in South Korea and its significance
- Fission track zircon ages of the igneous rocks in the Hamyang-Geochang area, South Korea
- 한국 중부지역 금은광상산 섬아연석의 조성변화와 성인적 특성
- 수정된 kriging법을 응용한 다목적지구통계모델의 개발 및 타당성 검토
- 彦陽地域 梁山斷層 附近 斷裂의 幾何 分析
- Occurrence and geochemistry of argyrodite, a germanium-bearing mineral(Ag₈GeS₆, from the Weolyu Ag-Au hydrothermal vein deposits
- 金浦지역 大同累層群에 대한 古磁氣 연구
- 장항제련소 지역 토양과 분진중의 Cu, Pb, Zn, 및 Cd의 지구화학적 분산과 산출상태
- 해남 옥매산-성산광상 acid-sulfate 변질대에서 금 함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