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金浦지역 大同累層群에 대한 古磁氣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Palaeomagnetism of the Taedong supergroup in the Kimpo a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인수(In Soo Kim) 민경덕(Kyung Duck Min) 이미영(Mi Yeong Lee) 강희철(Hee Cheol Kang) 전희영(Hee Young Chun)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26권 2호, 193~20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total of 111 independently oriented core samples were drilled at 12 sites in the Kimpo area (37.70°N, 126.55°E) of the Taedong Supergroup. The Taedong strata are composed of sandstone, conglomeratic sandstone, shale and thin coal seams. The age of the strata is known to be Late Triassic-Early Jurassic according to fresh-water Estherites and plant fossil (Dictyophyllum-Clathropteris flora) contents.
Through AF and thermal demagnetization, an area-mean ChRM direction of D=48.3° I=40.3° α95=7.9° k=59.5, n=7 was obtained. It passed fold and reversal test in the formation-mean level. Fold test was not significant in the area-mean level. The palaeomagnetic north pole calculated from the area-mean lies at 46.3°N, 222.0°E with dp =5.7, dm =9.5°. This pole position is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South China Block (SCB) in Triassic times. Palaeolatitude of the Kimpo area in the Taedong times was 23.0°N, again very similar to the palaeolatitude of the South China Block in the Late Triassic. This low latitude of the study area at the time of deposition explains the tropical-subtropical nature of fossil contents of the Taedong Supergroup.
목차
ABSTRACT
서론
일반지질
시료채취
연구방법
잔류자기 세척실험
실험 결과
고찰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양-승주지역 금은광상의 광화작용
- Boulangerite from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of ore-forming minerals in the Janggun lead-zinc-silver ores (2)
-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 Geochemistry of fluid inclusions of W, Cu and Au-Ag ore deposits in South Korea and its significance
- Fission track zircon ages of the igneous rocks in the Hamyang-Geochang area, South Korea
- 한국 중부지역 금은광상산 섬아연석의 조성변화와 성인적 특성
- 수정된 kriging법을 응용한 다목적지구통계모델의 개발 및 타당성 검토
- 彦陽地域 梁山斷層 附近 斷裂의 幾何 分析
- Occurrence and geochemistry of argyrodite, a germanium-bearing mineral(Ag₈GeS₆, from the Weolyu Ag-Au hydrothermal vein deposits
- 金浦지역 大同累層群에 대한 古磁氣 연구
- 장항제련소 지역 토양과 분진중의 Cu, Pb, Zn, 및 Cd의 지구화학적 분산과 산출상태
- 해남 옥매산-성산광상 acid-sulfate 변질대에서 금 함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