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남 옥매산-성산광상 acid-sulfate 변질대에서 금 함량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Gold abundance in aicd-sulfate alteration zone of the Ogmaesan-Seongsan ore deposits in Haenam area,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Chung Han Yoon(尹定漢)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26권 2호, 155~16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Gold contents with major and trace elements have been determined in 67 fresh igneous and altered wall rocks in the acid-sulfate alteration zone of the Ogmaesan-Seongsan pyrophyllite deposits in the Haenam area of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Li contents have a tendency to show high value in dickite and altered rocks with dickite, while As, Mo and Sb contents have tendencies to show high values in alunite vein and silicified zone. F contents are higher in the altered rocks compared to fresh rocks. (2) Gold contents are enriched in alunite vein and silicified zone of the Seongsan deposit, but depleted in dickite and altered rock with dickite. Gold contents are especially concentrated in fault or conjunction area of two faults. (3) Gold contents are higher values in the mineral assemblages of alunite-quartz-pyrite and alteration zone of the Seongsan deposit among the studied deposits. (4) Gold contents in samples of silicified zones tend to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Ag, As, Co, Hg, Sb and V content, but negative correlations with Y and Zr contents, while on the other gold contents of silicified tuffs tend to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Hg and Sb cont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urvey alunite vein and silicified zone at the conjunction of faults, and to analyze pathfinder elements such as Ag, As, Hg and Sb for geological and geochemical exploration of gold in the studied deposits.
목차
ABSTRACT
서론
시료채취와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양-승주지역 금은광상의 광화작용
- Boulangerite from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of ore-forming minerals in the Janggun lead-zinc-silver ores (2)
-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 Geochemistry of fluid inclusions of W, Cu and Au-Ag ore deposits in South Korea and its significance
- Fission track zircon ages of the igneous rocks in the Hamyang-Geochang area, South Korea
- 한국 중부지역 금은광상산 섬아연석의 조성변화와 성인적 특성
- 수정된 kriging법을 응용한 다목적지구통계모델의 개발 및 타당성 검토
- 彦陽地域 梁山斷層 附近 斷裂의 幾何 分析
- Occurrence and geochemistry of argyrodite, a germanium-bearing mineral(Ag₈GeS₆, from the Weolyu Ag-Au hydrothermal vein deposits
- 金浦지역 大同累層群에 대한 古磁氣 연구
- 장항제련소 지역 토양과 분진중의 Cu, Pb, Zn, 및 Cd의 지구화학적 분산과 산출상태
- 해남 옥매산-성산광상 acid-sulfate 변질대에서 금 함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