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 solidarite entre les femmes dans Poisson d or de Le Clezio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오보배(Bobae OH)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84권, 79~9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a prédominance des personnages féminins et leur rôle important et salutaire dans la vie de Laïla nous invitent à lire Poisson d’or autour du theme de sisterhood, solidarité entre les femmes. Les rapports de Laïla avec quatre personnages secondaires, Tagadirt, Houriya, Simone et Sara, peuvent être compris comme modèles de la sororité chez Le Clézio, non seulement parce qu’elles sont des femmes, mais surtout que ces relations solidaires sont fondées sur les valeurs considérées comme féminines ou féministes. Il s’agit de la responsabilité pour Autrui, assumée par l’hospitalité (Levinas, Derrida) et des principes écoféministes comme le soin, le respect pour la Nature, la coexistence et la durabilité (Maria Mies, Vandana Shiva). La solidarité de nos personnages et leur esprit de résistance apparaissent à travers les chansons et les poèmes. Si les vers de Césaire, récités par Laïla, reflètent la colère contre les situations injustes qu’elle vit en tant que noire, les paroles de Black is the color of my true love’s hair, répertoire de Sara, représentent un amour véritable qui nous permets de surmonter tous les préjugés raciaux. Ces solidarités féminines s’interrompent, sinon échouent, par la pauvreté, la citoyenneté inaccessible et surtout par les hommes qui traitent leur femme comme un objet à posséder. Cependant, dans la perspective leclézienne à la fois réaliste et optimiste, la sororité est une lutte qui finit souvent par s’arrêter, mais qu’on ne cesse de reprendre de nouveau.
목차
1. 서론
2. 타가디르의 초록색 집
3. 노래하는 ‘제비 자매들’
4. 여성 연대의 와해 또는 중단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나톨 프랑스 작품에 나타난 동양적 사고
- 자동차 산업의 생산기지 재편
- 생존 페르스의 시에 나타나는 기상요소들 : 풍경과 시학
- 르 클레지오의 『황금물고기』에서 여성 인물들 간의 연대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서아프리카 모계사회
- 몰리에르의 『인간 혐오자 Le Misanthrope 』의 극적 구조
- 박미하일의 『헬렌의 시간』과 다문화 수용 논제
- Reflexion sur l’enseignement de la litterature francaise centre sur l’apprenant
- Pour qui sonne le glas
- 프랑스학연구 제84권 차례
- 한국 프랑스학계의 여성학 담론에 있어 ‘여인’의 용례와 그 문화적ㆍ학술적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유럽 음식문화의 종주국 프랑스
- 인공지능 AIVA와 프랑스의 AI 저작권 문제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자크 타티 코미디의 단초로서의 <윌로 씨의 휴가> 고찰
- 샤를 브라방의 <위험한 관계> : ‘서간체 영화’ 만들기 방식과 감독의 다큐멘터리적 시선 연구
- 책의 즐거움 : 조르주 페렉의 책에 대한 물질적 관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