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 측정과 기대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63
- 영문명
- The Measurement and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for Museum Educational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김소영(So Young Kim) 김연정(Youn Jung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12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국가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정책 의지, 라이프스타일 및 교육적 가치관의 변화 등으로 인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그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대표적인 문화예술교육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은 박물관이 대중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와 교육을 위해 개설한 강좌, 체험학습 등을 의미한다. 박물관은 이러한 교육프로 그램을 통해 기관 본연의 사명을 달성하면서 동시에 고객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만족을 증가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박물관 교육프로그 램에 대한 마케팅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고객만족과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출발점인 고객중심의 서비스 품질 측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 수준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기대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총 7개 차원의 29개 항목을 추출해 내었고, 이를 반영한 서비스 품질 척도가 개발되 었다. 또한 서비스 품질의 기대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이 향상되면 고객만족이 증가되고, 이렇게 증가된 고객만족은 박물관 교육프 로그램에 대한 충성도뿐만 아니라 박물관 전시 관람에 대한 충성도를 증가시키며 더나아가 고객의 주관적 삶의 질까지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se days museum educational program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because of the government s policy of strongly promoting arts education and the commitment changes in lifestyle and educational value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develop a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museum educational programs by measuring service quality, including customers attitudes about and assessment of general customer services, and by analyzing customers subjective satisf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because it seeks to extend earlier studies of museum educational programs, which have mainly have been limited to the actual themes, content and methods of such programs, and it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museum educational programs with a view to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has provided empirical data about essential service elements relevant to improving the quality of museum educational programs, thereby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The data collecte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ustomer experience and to lay the basis for improvements to museum educational programs so as to better meet customers demands and expec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서비스 품질의 측정
Ⅳ.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과 기대효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