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식업체 인스타그램의 하위속성이 인상과 구매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86
- 영문명
- Impacts of Sub-elements in Instagramming by Restaurant Service Providers on the Impression and Purchase Choice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김지응(Kim, Ji-Eung) 최양옥(Choi, Yang-Ok) 이동욱(Lee, Dong-Wook)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2권 3호, 87~1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업체의 인스타그램 활용이 외식소비자들에게 주는 인상과 구매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2017년 4월21일부터 5월10일까지 일반인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20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중 응답내용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5부를 제외하고 총 196부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스타그램의 하위요소 사회적연결성, 접근성, 정보성, 유용성은 인상과 구매선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업체에 대한 고객들의 인상은 구매선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상은 인스타그램과 구매선택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업체의 인스타그램 활용과 하위 요소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인스타그램의 하위요소 설정하여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기능적이면서도 외식업체의 마케팅 활동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고객들에게 홍보할 수 있는 외식업체의 인스타그램 활용 방안과 인스타그램의 하위요소 중 인상과 구매 선택 모두에게 유익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과 인상의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하고 향후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foodservice Instagram use on consumers impression and purchase choice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PSS. Sampling of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general public from April 21, 2017 to May 10, 2017 and a total of 201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used except for five copies, which were deemed invali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ocial connectivity, accessibility, information quality and usefulness, or the sub-elements of Instagramming,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mpression and purchase choice. Consumer impressions of restaurants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choice. Impress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stagram and purchase choice.
Next, the study explored how to further develop the sub-elements of Instagramming based on findings of the use of Instagram and sub-factors. It also intended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utilization of the service provider s Instagram which can prompt the customers positively in terms of the marketing activities of the service provider, what could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impression and purchase choi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mpression.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