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 급식소 국류 염도 실태와 국그릇 색채에 따른 짠맛 인식도
이용수 168
- 영문명
- A Survey on the Salinity of Soups and the Perception of Salty Taste according to the Color of Soup Bowls in the Children’s Foodservice institute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이진용(Lee, Jin-Young) 김지영(Kim, Ji-Young) 김상연(Kim, Sangyeon)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2권 3호, 17~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A구 어린이 급식소를 대상으로 국류 염도에 대해 조사․분석하고 푸드코디네이션 요인 중 어린이용 국그릇 색채에 따른 짠맛 인식도 연구를 함으로써 영유아기의 효과적인 나트륨 저감화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1월 1일∼12월 30일까지 167개소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국류 염도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2017년 9월 1일∼30일까지 4개소를 대상으로 국그릇 색채 짠맛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 급식소국류 평균 염도는 0.39±0.12(0.1∼1.0)%로 나타났으며 국 종류에 따른 평균 염도는 맑은국 중에서는 미역국 0.43±0.23%, 된장국 중에서는 아욱된장국 0.44±0.15%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매운국의 육개장 0.32±0.13%, 곰탕의 닭곰탕 0.36±0.07%로 조사되었다. 국그릇 색채에 대한 짠맛 인식도는 조사대상자 중 31.3%(21명)가 콩나물국을 회색 그릇에 담았을 때 짠맛이 가장 많이 느껴진다고 응답하였다. 사골우거지국은 흰색 29.9%(20명), 육개장은 흰색 40.3%(27명), 닭곰탕은 녹색 32.8%(22명) 국그릇에 담았을때 짠맛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p<0.05)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국그릇 색채를 달리함으로써 어린이 급식소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방안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linity of soups in the children s foodservice institute in Seoul, Korea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bowl color on the perception of salty taste in the children. The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alt content of soups from November 1 to December 30, 2017 in the of children’s foodsevice institute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salty taste according to the color of soup bowls from September 1 to 30,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oups was 0.39 ± 0.12 (0.1∼1.0)%. The salinity of seaweed soup was 0.43 ± 0.23%; soybean paste soup with curled
mallow, 0.44±0.15%; spicy beef soup, 0.32±0.13%% and boiled chicken soup, 0.36±0.07%. The perception of salty taste related with the color of soup bowl was that 31.3% of respondents felt salty taste more from bean sprout soup in a gray bowl; 29.9% of respondents, white for bone soybean paste soup; 40.3% of respondents, white for hot spicy meat stew, and 32.8% of respondents green for chicken s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colors of soup bowls can help to reduce the sodium content of children s food.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Ⅵ.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