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s of Adjusted Positioning in CT Gastrography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장진규(Jin Kyoo Jang) 김정훈(Jeong Hoon Kim) 조현종(Hyeon Jong Cho) 하동윤(Dong Yoon Ha) 이용문(Yong Mo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9권 제1호, 23~26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We classified three groups with position change from effection of bubble by using effervescent granules in CT gastrography. We compared the CT gastrography images with 3D reconstruction of the stomach and evaluated an effect to stomach tube image clinically.
Materials and Methods
In 90 adults (M:F=67:23, mean age; 59years) were performed. Before scanning, 8 g of effervescent granules with a small amount of vvater is administered orally to distend the stomach. CT gastrography is three groups: group I is only spine. roup II is Adjusted supine. groub III is prone, supine and LPO position. Ionic contrast material injection(150ml) was administered at a rate of 3ml/sec by a power injector for better reproducibility in follow-up examinations. We were taken a axial images(0.7mm) using the Siemens Somatom sensation 16(Erlangen, Germany) MIXT and then transmited the data GE workstation(AW4.1_06). We performed of 3 types randering method (Transparent Image, shaded surface display, virtual Endoscopy) using the Image quality grading method:(many, small, nil)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ed:
group I
Quantity of bubble (many=13, small=9, nil=8)
group II
Quantity of bubble (many=3, small=4, nil=23)
group III
Quantity of bubble (many=1, small=7, nil=22)
Conclusion
CT gastrography showed bubble using effervescent granules. group I got the image where the bubble is many, the group II, III got the image quality which is excellent. Fro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were taken the best Image quality of all types post processing method in group III. group III for CT gastrography guaranteed the excellent 3D CT gastrographic imag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High Dose Computed Tomography검사의 Exposure Dose 측정 및 평가
- CT TDC(Time Density Curve)를 이용한 뇌 수막종의 유용성 분석
- 노이즈 변화에 따른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팬텀성능 평가
- 64MD CT를 이용한 흉부외상 환자 VR 영상의 알고리즘별 분석
- 관상동맥 협착부위에서의 석회화된 부위와 비 석회화된 부위의 에서의 64-slice MDCT와 IVUS 비교
- 조기 위암진단 있어 수술 전 64volume CT를 이용한 가상위내시경과 수술 후 병리조직결과의 비교
- ECG-Gated 심장 CT검사에서 다면 재구성 영상을 이용한 심근교 질환의 평가에 대한 유용성
- 심혈관 협착에 대한 64Volume Cardiac CT와 Cardiac Angiography의 비교
- 관상동맥 협착 진단을 위한 workstation별 QCA값의 비교 평가
- MDCT를 이용한 경부동맥 촬영에서 IV 선택위치에 따른 영상 비교
- 외상에 의한 흉곽 골절에 유용한 다절편 CT의 재구성 영상
- Adenosine triphosphate(ATP)를 이용한 운동부하 cardiac CT angiography 검사의 특성과 유용성
- ECG-gated MDCT를 이용한 Cardiac CT에서 ECG editing의 유용성과 고찰
- Subtraction을 이용한 MoyaMoya Disease에 대한 외과적 EIAB(extracraniall intracranial arterial bypas)의 유용성 분석
- 하지 64 MDCT 혈관조영술에서 outrun 예방을 위한 검사방법
- Coronary CT 검사시 SFOV 변화에 따른 환자선량 평가
- 조영증강 CT 촬영 후 발생한 공기 색전의 원인규명 및 감소방안 연구
- CT위장검사시 체위변화에 따른 영상의 비교
- 소아 CT검사시 적정 노출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신체조건에 따른 자동노출과 수동노출의 차이에 대한 연구
- Dual Source CT와 Multi Detector CT에서 Coronary 검사의 방사선량 분석
- 조영제와 생리식염수 주입 순서에 의한 Syringe내에서의 CT Number값 변화
-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에서의 CT-based surgical planning의 유용성 평가
- 측두골 질환의 진단을 위한 검사 추이분석
- 조영제 부작용 정보의 전산처리 후 실태조사
- Liver Volumetry에 있어 Graphic Tablet System과 Mouse System의 유용성 비교에 관한 연구
- Test bolus triggering을 이용한 CT Mesenteric Angiography Arterial phase의 적정 Delay time에 관한 연구
- 64MDCT에서의 흉통환자와 심혈관 질환과의 관계와 검사의 유용성 평가
- 64 Slice MDCT에서 HR Variation이 Image Quality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Polyp 진단에 있어서 CO₂ (carbon dioxide)를 이용한 MDCT Colonography의 유용성
- Cardiac CT angiography를 이용한 coronary artery plaque의 형태학적인 분류
- 저관전압 흉부 CT검사 시 CT value의 변화에 따른 영상평가
- Cacium scoring과 허혈성 심장질환 유병률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