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sefulness Comparison of 3D-QCT and DXA in Bone Densitometry Measurement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이혜진(Hye Jin Lee) 김홍식(Hong Sik Kim) 황호영(Ho young Hwang) 강성호(Sung Ho Kang) 임재식(Jae Sik Lim)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1권 제1호, 102~10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Concerns and interesting in fractures mainly from age-related osteoporosis are on the rise as the aged population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modern times. The present study compared and evaluated QCT(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and D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useful bone density measuring method, intended for preventions and treatments, to find out what factors are sensitive in osteoporosis diagnosi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test, one group of 50 patients who received QCT inspection and another group of 50patients for DXA at this hospital from march to april, 2008 (100 patients in total) and 13 patients among the QCT-tested patients who also received DXA test within three months from QCT test day, have been employed. Test subjects are found to be 58.9 aged in average and composed of 9 males and 97 females. As inspection method, T-score was employed to compare results from QCT and DXA inspections on both of L-spine and hip and it named L-spine(T-score) for T-score of L-spine and hip(T-score) for femur neck T -score respectively.
Results
Test results show that 81% of 100 test subjects are aged more than 50 to imply the aged people more frequently take the osteoporosis test and therefore, they are at high risk for osteoporosis due to decreased bone density than other age groups, and average value of L-spine(T-score) at each test was lower at QCT than at DXA, while showing similar value of hip(T-score). Cross analyses for each test result as well as particular results from patients receiving both of DXA and QCT showed that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coefficient between test method and hip(T-score), but significant coefficient between test method and L-spine(T-score).
Conclusion
For aged people, frequencies of osteophytes to often make bone density overestimated and of aortic calcification and bone density test by DXA are pretty difficult to exactly perform it, while QCT analyzes if spongy bone decreases by quantity to promote sensitivity of osteoporosis diagnosis and furthermore, it is highly expected to contribute to exact evaluations of curing effects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Ⅰ. 목적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Ⅵ.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상동맥 CT혈관조영술에서의 운동 인공물에 대한 심전도 보정에 의한 영상재구성 기법
- Dual Energy를 이용한 CT Discography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다절편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관상동맥촬영의 통계적 고찰
- CT검사시 목적장기 이외 부위의 차폐를 통한 피폭선량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Dual Source CT를 이용한 폐정맥 검사시 전향적 심전도 동조화 기법의 유용성 평가
- 상지의 Direct Injection CT Venogram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관상동맥 CT조영 검사시 선량감소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 Cardiac CTA의 조영제 주입시간에 관한 연구
- 심부정맥혈전증 검사시 Tracker 기법의 유용성 평가
- 경부 CT검사시 선속경화현상 감소를 위한 환자 자세 및 영상 평가
- Dose Modulation 기법에서 Noise Index 변화에 따른 선량 및 영상 Noise의 변화
-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CT영상을 이용한 간 체적계산법의 Reference Data로서의 유용성
- Small Pulmonary Nodule Localization을 위한 CT Fluoroscopy의 유용성
- 64 Slice MDCT와 심근관류 SPECT, 심초음파를 이용한 심실 기능 지표의 비교
- CT검사시 조영제의 혈관외유출 발생률 감소를 위한 방안 모색
- 급성 뇌경색 환자의 혈전용해제(tPA) 투여를 위한 BEST Protocol의 유용성
- Multi-detector CT장치의 저대조도분해능 평가
- 골밀도 측정에 있어 3D-QCT와 DXA의 유용성 비교
- CT검사로 인한 방사선 피폭이 혈액에 미치는 생물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