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icacy of BEST Protocol for Injecting tPA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전필현(Pil Hyun Jeon) 전성수(Seong Su Jeon)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1권 제1호, 7~1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Stroke is the third leading cause of death in the industrialized world and the primary contributor of disability claims. Because 70% of all stroke victims are over 65, Medicare spends more on post-acute care for these patients than for acute in-patient hospital care. As the elderly population continues to grow, the situation will only worsen. This research could change BEST(brain salvage through emergent stroke therapy) protocol on how stroke patients are triaged and potentially extend treatment opportunity for those who are receiving intravenous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trombolytic drug) within three-to-six hour window of stroke onset. CT Perfusion imaging may dramatically improve the speed and accuracy of stroke diagnosis, enabling physicians to avoid potentially threatening complications from tPA use. In cases where our hospital used CT brain perfusion the average time between the emergency room neurological exam and CT scan time was 30minutes. At our hospital we were able to save valuable time by performing BEST protocol simultaneously with CT brain perfusion.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study at Wonju Christian hospital,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54 patients suspected of acute ischemic stroke who underwent CT brain perfusion as part of BEST protocol. 56 of these patients received tPA inje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atients who presented at WCH from March, 2008 to February 2009. We used BEST protocol, performed with Philips 64 channel Brilliance CT equipment.
Results
We compared the time taken before and after the use of BEST protocol. The time advantage by performing BEST protocol between the emergency room neurological exam and CT scan was 24 minutes.
Conclusion
The study finding may have significant effect on visiting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Through BEST protocol using pop up window, CT scan time was reduced by 50%. This process will dramatically improve hospital diagnostic time, most of all by reducing CT scan time, thereby helping the emergency room save precious time in stroke diagnosis, target treatment, and reduce the risks of inappropriate tPA use.
목차
Abstract
Ⅰ. 목적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상동맥 CT혈관조영술에서의 운동 인공물에 대한 심전도 보정에 의한 영상재구성 기법
- Dual Energy를 이용한 CT Discography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다절편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관상동맥촬영의 통계적 고찰
- CT검사시 목적장기 이외 부위의 차폐를 통한 피폭선량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Dual Source CT를 이용한 폐정맥 검사시 전향적 심전도 동조화 기법의 유용성 평가
- 상지의 Direct Injection CT Venogram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관상동맥 CT조영 검사시 선량감소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 Cardiac CTA의 조영제 주입시간에 관한 연구
- 심부정맥혈전증 검사시 Tracker 기법의 유용성 평가
- 경부 CT검사시 선속경화현상 감소를 위한 환자 자세 및 영상 평가
- Dose Modulation 기법에서 Noise Index 변화에 따른 선량 및 영상 Noise의 변화
-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CT영상을 이용한 간 체적계산법의 Reference Data로서의 유용성
- Small Pulmonary Nodule Localization을 위한 CT Fluoroscopy의 유용성
- 64 Slice MDCT와 심근관류 SPECT, 심초음파를 이용한 심실 기능 지표의 비교
- CT검사시 조영제의 혈관외유출 발생률 감소를 위한 방안 모색
- 급성 뇌경색 환자의 혈전용해제(tPA) 투여를 위한 BEST Protocol의 유용성
- Multi-detector CT장치의 저대조도분해능 평가
- 골밀도 측정에 있어 3D-QCT와 DXA의 유용성 비교
- CT검사로 인한 방사선 피폭이 혈액에 미치는 생물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