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시대 서예의 비교 연구
이용수 34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lligraphy in the Three States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장지훈(Jang Ji hoon)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2호, 5~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대표적인 서예유적을 통해 삼국 문자예술의 특징과 심미의식을 조명한 것이다. 고구려는 북방에 위치하면서 중국 북조와의 빈번한 교류에 의해 북방서예문화의 흔적이 역력하였다. 백제는 북조 보다는 해상을 통해 중국 남조와 교류가 빈번하여 대체로 남방서예문화의 영향이 강하였다. 반면 신라는 지정학적으로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선진적인 문자문화의 수용이 늦은 반면 신라고유의 색채가 농후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삼국의 서예는 형성되었다. 고구려의 서예는 필획이 굳세고 결구가 여유로우며 장법은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蒼古한 기세가 풍만하다. 서체는 창조성이 짙은 것으로 고박하고 웅혼하며, 생동감이 있고 상무적 기질의 활달함이 두드러진다. 백제의 서예는 필획이 淸厚하고 결구가 和平한 가운데 形似에 구속되지 않는 天趣가 내재해 있다. 즉, 楷正함 속에서도 여유로운 풍운과, 소박하고 단순함 속에서도 자연스러운 변화태를 구현하였다. 신라의 서예는 일률적이고 통속적인 미에서 벗어나 우졸한 필획과 기일한 결구가 혼융되어 변화무쌍하고 해학적인 奇古의 조형미를 형성하였다. 삼국의 서예는 형상적으로 각각 일정정도의 특수성과 다양성이 나타나지만, 자간과 행간에 면면히 흐르는 그 미적 감수는 우리민족의 유순한 心源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大和를 추구하는 풍류정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유를 지향한 삼국시대의 문자예술 속에는 유 ․ 불 ․ 도 3교를 아우르면서 그것마저도 초월하는 민족고유의 미감이나 사상적 원형이 뚜렷하다고 보여진다. 즉, 삼국의 서예는 공히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는 풍류에 바탕하여 인위적이지 않는 자연 그대로를 멋으로 삼아 ‘書法自然’의 심미경계를 지향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of the three kingdoms writing arts through the representative calligraphy relic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As Goguryeo was located in the north, it was tired of the traces of the northern calligraphy culture as a result of frequent exchanges with the Chinese government. Baekje engaged in frequent interaction with the south of China via the sea rather than with the north of the peninsula, and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calligraphy culture was strong. Silla, on the other hand, was geographically isolated, so it was later influenced by the culture of advanced writing, while its unique color was abundant. Based on this cultural background, calligraphy in the three kingdoms was formed. The calligraphy works in Goguryeo Kingdom with a sturdy design, loose structure, and a long, harmonious style. Typography is creative, it is dull, and the liveliness of its commercial temperament is striking. In Baekje, calligraphy works in a beautiful style, and its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structure are fully interlinked, but this year s calligraphy is not tied up in a traditional painting. In other words, the diverse wind and simplicity of the Hwa-tae were used to create a natural variant. Silla s calligraphy works were not so popular as to form a consistent style, but with a combination of small plans and elaborate structures, creating a beautiful and humorous style of sculpture. While the calligraphy from the three kingdoms each displayed a certain degree of distinction and diversity, the aesthetic sensibility, which runs continuously between the lines, was created by the benign nature of the Korean people.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writing art aimed at this reason, it is believed that the aesthetic and ideological prototypes of the people are distinct, encompassing the three major religions and religions. In other words, all of the calligraphy works by the three countries were based on the nature of seeking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and thus adopted an artificial nature as a natural charm in order to enhance the aesthetic boundaries of foreign affairs.
목차
Ⅰ. 서론
Ⅱ. 고구려의 서예미
Ⅲ. 백제의 서예미
Ⅳ. 신라의 서예미
Ⅴ. 삼국의 서예미학 비교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