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무관련 소송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 연구
이용수 109
- 영문명
- Police officer s perception of job-related litigation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재영(Jae-Young, Lee) 박상진(Sang-J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3권 제4호, 137~15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찰직무관련 소송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아닌, 실증적 연구를 통해 소송에 대한 경찰관들의 두려움과 요구(needs) 를 파악하여 대응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경기, 인천, 전라, 충청권역의 경찰서를 임의로 선정하여 이들 경찰서에 근무하는 남녀 경찰관을 임의표집하여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653명의 설문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 었으며 설문의 내용은 직무관련소송 경험 여부 및 두려움, 피소의 원인, 직무관련 소송의 문제점, 예방방안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경찰관들은 소송을 제기당하는 주된 이유로 법집행 절차 및 정책의 모호성 때문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소송으로 인한 문제점 중 가장 중대한 것은 경찰 사기의 저하 및 경찰관의 심리적 스트레스라고 답하였다. 또한 직무관련 소송의 두려움을 평균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적절한 직무수행을 했음에도 불구 소송을 제기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찰직무수행관련 소송의 예방방안으로 명확한 법집행 절차 및 가이드라인마련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needs of the police officers through empirical research rather than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police officer s job-related litig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police job-related litigation, police stations in Gyeonggi, Incheon, Jeolla, Chungcheong region were randomly selected to randomly sample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and conduct self-reporting survey. Surveys of 653 police officers were utilized in actual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survey are composed of litigation experience and fear, cause of litigation, prevention measures regarding job-related litig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olice officers were more than average (3.11) in fear of job related litigation. It is also highly perceived(3.58)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litigation even though they have performed their duties properly. Also, police officers answered the major cause of job-related litigation was the ambiguity of law enforcement process and policy. Also, they answered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of litigation influencing police organization is demoralization of police. Among the prevention measures of job-related litigation, the police officers evaluated necessity of clear law enforcement process and preparation of guideline the highest.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및 논의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행 변사자 처리 절차의 재조명
-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별 및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 통합된 심리수사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 폴리그래프와 법최면 통합사례연구 -
- 효율적인 최면수사를 위한 단축형 최면감수성 측정도구에 관한 연구 - HGSHS-K를 중심으로 -
- 가정 밖 청소년의 범죄 가해 및 피해와 관련된 요인 연구
- 직무관련 소송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 연구
- 사회안전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이혼율과 자살률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 광역단체의 주요지표를 중심으로 -
- 성별에 따른 청소년들의 생활패턴과 비행과의 관계 - 사회유대이론과 일상생활이론을 중심으로 -
- 경찰 복합 나선형 외상(Police Complex Spiral Trauma)에 관한 연구 - 직무상 외상경험을 중심으로 -
- 경찰의 데이트폭력 대응체계 및 피해자 보호방안
- 법원의 心神障碍人 판단경향과 시사 - 판결문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요인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