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 밖 청소년의 범죄 가해 및 피해와 관련된 요인 연구
이용수 2,018
-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crime offending and victimization among runaway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창훈(Chang-Hun, Lee ) 안계원(Kyew-On, Ahn) 김원기(Won-ki,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3권 제4호, 153~16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가정 밖 청소년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대체적으로 가출의 원인, 가출 실태 및 현황, 범죄 피해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제언에 집중 하였다. 그 결과, ‘가출’ 이라는 용어를 ‘가정 밖’이라고 변경 하면서 가출 청소년에 대한 ‘잠재적 범죄자’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게 되었으며, 가정 밖 청소년을 위한 쉼터 증가, 각종 복지제공을 증대시켰다. 하지만, 왜 가정 밖 청소년이 범죄를 저지르는지, 왜 범죄 피해를 겪게 되는지에 대한 요인 파악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가정 밖 청소 년들의 범죄 가해 및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의 범죄 피해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지역의 23개소의 청소년 쉼터에서 생활하고 있는 가정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203 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정 밖 청소년들이 경찰과 접촉이 잦다고 하더라도, 경찰은 이들의 범죄 가해 및 피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였으며, 둘째, 가정 밖 생활 전 보다 가정 밖 생활 후에 범죄 가해 및 피해 경험이 증가하 였고, 셋째, 남자 청소년보다 여자 청소년들이 가정 밖 생활 후 범죄 가해 경험을 더 많이 하였으며, 넷째, 가정에 복귀할 의사가 없는 청소년들이 범죄 가해 및 피해 경험을 더 많이 하였으며, 다섯째, 가정 밖 생활 전/후 범죄 가해 경험은 가정 밖 생활 후범죄 피해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특히, 가정 밖 생활 후 범죄 피해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는 변수는 가출 후 범죄 가해 경험 및 가정으로의 복귀의사가 없는 경우이었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제언을 제시하 였다.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of runaway youths have focused on causes of runaway, types of runaway, and their offenses and victimization types. These studies provided firm grounds for legal changes and public policies for runaway youths. However,prior studies have not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runaway youths experiences of crime offending and victimization. Thus, this study was purported to investigate what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crime offending and victimization experiences. To fulfill the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203 youths living in Sheimteo(youth shelter) around Kyunggi province. Analyses findings showed that, first, police contacts did not reduce offending and victimization of youths, second, female youths more involved with crime offending than male youths, third, youths who do not want to go back home were more likely to involved with offending and victimization, fourth, the most significant factor related with crime victimization after runaway was involvement of crime offense after runaway.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분석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과 및 정책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행 변사자 처리 절차의 재조명
-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별 및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 통합된 심리수사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 폴리그래프와 법최면 통합사례연구 -
- 효율적인 최면수사를 위한 단축형 최면감수성 측정도구에 관한 연구 - HGSHS-K를 중심으로 -
- 가정 밖 청소년의 범죄 가해 및 피해와 관련된 요인 연구
- 직무관련 소송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 연구
- 사회안전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이혼율과 자살률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 광역단체의 주요지표를 중심으로 -
- 성별에 따른 청소년들의 생활패턴과 비행과의 관계 - 사회유대이론과 일상생활이론을 중심으로 -
- 경찰 복합 나선형 외상(Police Complex Spiral Trauma)에 관한 연구 - 직무상 외상경험을 중심으로 -
- 경찰의 데이트폭력 대응체계 및 피해자 보호방안
- 법원의 心神障碍人 판단경향과 시사 - 판결문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요인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