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시간 인터넷 방송과 케이팝, 그리고 수용자

이용수  1,323

영문명
K-Pop and the Global Active Audience: The Transnatoinality of Naver Webcast Service ‘ V-Live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이규탁(Lee, Gyu Tag)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39집, 33~6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년 8월 네이버가 새롭게 시작한 실시간 인터넷 방송 서비스 ‘브이앱’ 의 특성을 분석하여 해당 특성이 현재 글로벌 케이팝 수용자들의 특징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고찰한 논문이다. 문화산업에서의 디지털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2000년대 이후 음악산업은 소셜 미디어와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유지한 채 발전해 왔으며, 소셜 미디어에 ‘실시간성’이라는 요소를 추가한 실시간 인터넷 방송 역시 음악산업과 깊은 관련을 지니고 있다. 특히 케이팝의 경우 소셜 미디어 및 그것을 통해 수용자 생산 콘텐츠를 공유하는 능동적인 수용자의 역할이 세계화의 원동력이었다. 케이팝 스타들을 중심으로 한 실시간 인터넷 방송 서비스인 브이앱은 소셜 미디어의 소통 방식과 케이팝 향유의 실시간성, 수용자의 능동성과 수동성을 모두 반영한 새로운 서비스이다. 더불어 이 서비스는 ‘네이버’라고 하는 거대 미디어 기업이 모바일 시대의 새로운 흐름에 발맞추어 글로벌 미디어로 성장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행보라는 점에서도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브이앱을 이용하여 글로벌 수용자들은 자신의 스타는 물론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팬들과 실시간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들은 초국가적이면서도 찰나적인, 그러나 지속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가상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영문 초록

‘V Live(or V App)’ is a new internet broadcasting service launched in August 2015 by Naver.com, the biggest and most influential web portal in Korea. By analyzing V Liv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social media and K-Pop audiences. Since the early 2000s, music industry and global social media have been interdependent with each other. While global social media have used music as one of their most important contents, players in the music industry including musicians and recording companies have been able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ir audiences thanks to global social media. Also, global social media provide audiences with ‘virtual playgrounds’ where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Especially, the globalization of K-Pop or Hallyu has been heavily dependent upon global social media. As we can see in the case of Psy’s ‘Gangnam Style’, active audiences have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globalization of K-Pop by making fan-made videos and sharing them through social media. V Live reflect all of these unique characteristics. Also, it shows how the big media company(Naver.com) is trying to penetrate into the fan culture in the era of digitalization. In V Live, while the media corporation offers a space for global K-Pop audiences for making profits, global audiences with different racial and ethnic backgrounds are not only used by them but also constructing a new type of transnational community by themselves although it might be a temporary on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규탁(Lee, Gyu Tag). (2016).실시간 인터넷 방송과 케이팝, 그리고 수용자. 예술경영연구, 39 , 33-65

MLA

이규탁(Lee, Gyu Tag). "실시간 인터넷 방송과 케이팝, 그리고 수용자." 예술경영연구, 39.(2016): 3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