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a diagnostic scale for Measuring Adverse Effects of Mobile Devi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주(Lee, Youngju) 권동택(Kwon Dongtaik) 유형근(Yu, HyungKeun) 장진희(Jang, Jin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9호, 527~5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을 진단 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스마트 기기 사용에 관한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스마트기기 중독, 사이버 일탈, 사이버폭력별 진단척도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예비문항에 대
한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20개교, 중학교 9개교를 대상으로 총 2370명에게 배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초등학생 대상 검사도구는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중학생용 검사도구는 총 9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타당화된도구는 학교현장에서 스마트 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 문제를 진단하는 종합적 도구로실용적 기여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scal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measuring adverse effects of their using mobile devices. Based on our literature review, we developed preliminary items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mobile device addiction, online deviation, and cyberbullying. The preliminary scale was distributed to a total number of 2370 students at the 20 elementary schools and 9 middle schools for the validation of the scale.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extrated 5 factors for the elementary school version and 9 factors for the middle school scale. We believe this diagnostic scale will be used as a comprehensive instrument to assess problems occurred from students’ use of mobile devices and contribute to practical use in the field.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수업상황에서 교사 담화의 양상과 교육적 함의
- 통합형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국어과 실험본 교과서의 비판적 고찰
- 수준별 영어수업이 중학교 하반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현대시 교육에서 미적 경험의 형성 방안 연구
-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스마트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 표절에 대한 전통적 논의와 대학생 학습윤리 교육의 반성적 고찰
-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수·학습 및 평가를 위한 PISA와 ATC21S의 특징 비교 분석
- 한국의 학교상담 법제화 방향 및 입법전략 연구
- 음운해독부진아동의 낱말읽기능력과 예측변인
- IPA를 활용한 STEAM 수업 설계 및 적용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인터넷 활용 조사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독해 특성 분석
- 대학 수업에서 사례기반학습이 과제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chwab의 the practical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이해와 오해
- 이해중심 게임모형을 적용한 변형볼링 수업 효과
- 한국어 학습 전략 교수에 관한 질적 연구
-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생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욕구만족이론을 통한 아동기 삶과 앎의 통합
- 중등학교 학생부 교사의 역량모델링
- 수업비평의 관점에서 음악수업 ‘읽기’ 및 ‘쓰기
-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성격유형에 따른 다문화주의 유형 관계
- 대학생들의 전공계열과 성별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
- 여자고등학생이 지각한 부, 모애착과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및 학교생활, 부모와의 관계 만족감 조절효과
- 방과후학교 예체능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