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s and learning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by their major and gend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담이(Bang, Da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9호, 463~4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식론적 신념은 개인적 변인이나 교육환경 같은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인식론적 신념은 학생의 이해나 학습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성별과 전공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양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인식론
적 신념이 학습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사립대학교의 3, 4학년 학생 총 260명을 대상으로 송인섭과 김수란(2012)의 인식론적 신념 검사지와 Cohen, Oxford와 Chi(2001)의 학습양식 검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의 성별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식론적 신념의 전공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공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에 비해 지식의 확실성, 앎의 원천, 앎의 정당화, 규제된 학습 요인에서 미성숙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양식의 성별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시각적 유형을 선호하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임의적-직관적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양식의 전공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식론적 신념의 학습양식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앎의 원천과 규제된 학습이 구체적-순차적 양식에 대해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과 전공 및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양식을 고려한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에 필요한 점들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Epistemological beliefs of individual student are known to b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ersonal variabl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It also affects on students’ comprehension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on epistemological beliefs and learning styl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wo hundred and sixty undergraduate students of one private university located near metropolitan area of Seoul participated. An epistemological belief questionnaire of Song & Kim(2012), and
revised version Cohen, Oxford, & Chi’s learning style questionnaire(2001) were administered to assess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as well as their learning sty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epistemological belief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jor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d more mature epistemological beliefs than students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Female students preferred visual and concrete-sequential learning style to male studen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earning styles depending on students major. Analysis of regression showed omniscient
authority and innate ability were significant contributor to predict concrete-sequential learning style.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for developing learning-teaching strategy considering students gender and epistemological beliefs based on the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수업상황에서 교사 담화의 양상과 교육적 함의
- 통합형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국어과 실험본 교과서의 비판적 고찰
- 수준별 영어수업이 중학교 하반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현대시 교육에서 미적 경험의 형성 방안 연구
-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스마트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 표절에 대한 전통적 논의와 대학생 학습윤리 교육의 반성적 고찰
-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수·학습 및 평가를 위한 PISA와 ATC21S의 특징 비교 분석
- 한국의 학교상담 법제화 방향 및 입법전략 연구
- 음운해독부진아동의 낱말읽기능력과 예측변인
- IPA를 활용한 STEAM 수업 설계 및 적용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인터넷 활용 조사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독해 특성 분석
- 대학 수업에서 사례기반학습이 과제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chwab의 the practical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이해와 오해
- 이해중심 게임모형을 적용한 변형볼링 수업 효과
- 한국어 학습 전략 교수에 관한 질적 연구
-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생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욕구만족이론을 통한 아동기 삶과 앎의 통합
- 중등학교 학생부 교사의 역량모델링
- 수업비평의 관점에서 음악수업 ‘읽기’ 및 ‘쓰기
-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성격유형에 따른 다문화주의 유형 관계
- 대학생들의 전공계열과 성별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
- 여자고등학생이 지각한 부, 모애착과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및 학교생활, 부모와의 관계 만족감 조절효과
- 방과후학교 예체능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