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 and Poetic Figuration of Joseon Dynasty s Writer in Sonjukkyo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저자명
- 홍순석(Hong, soon seuk)
- 간행물 정보
- 『포은학연구』제20집, 151~18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개성의 선죽교를 탐방 조선시대 문인들의 선죽교에 대한 인식과 시적 형상을 정리한 것이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선죽교의 혈흔을 목도하고 그때마다 추모의 정을 담거나 비분강개의 뜻을 펼쳤으며, 순절의 의미를 되새겨 살신성인의 도를 후학에게 권려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심경을 시에 담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시를 ‘선죽교시’라 묶고 다양한 형상을
정리하였다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선죽교는 단순히 포은이 격살당한 졸명지(卒命地)의 유적이 아니다. 포은의 충절을 상징하는 표상이며, 유교정치를 표방한 조선시대 강상(綱常)의 근원지이다. 조선후기 우국지사(憂國之士)들에게 선죽교는 국가 존망의 위기에서 결연히 충정을 다짐하던 성지(聖地)로 인식된다.
조선시대 문인들의 선죽교시에 표출된 시적 형상은 1)회고(懷古), 2)상심(傷心)과 애도(哀悼), 3)포은의 값진 죽음의 찬미, 4)충절(忠節), 5)강상(綱常) 등의 유형으로 구분해 살필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유형은 복합적인 양상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내용과 함께 해당하는 시편의 시어(詩語)를 중심으로 구분하였다. 1) 회고의 유형은 주로 조선 초기 문인들의
시편에서 나타난다. 선죽교 주변의 황폐한 들판과 석양을 통해 고려왕조의 시운을 탄식하는 양상이다. 2) 상심과 애도의 유형은 가장 일반적인 양상으로 선죽교와 읍비를 목도한 문인들이 포은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애도의 정회를 표하는 양상이다. 3) 포은의 값진 죽음의 찬미한 유형에서는 포은을 고려왕조와 함께 천명(天命)을 다한 충신으로 인식하고, 포은의 죽음을 정
명(正名)사상에 근거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4)충절(忠節)의 유형에서는 포은을 고충(孤忠)·의사(義士)·열사(烈士)로 인식하고 주로 백이(伯夷)와 문천상(文天祥)에 비유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5)강상(綱常)의 유형으로 구분한 시편에서는 포은이 시운(時運)을 잘못 만나 순절하였지만 오히려 만고의 강상을 후학에게 끼쳤음을 칭송하고 있다. 포은이 우리나라 성리학의 조종으로 인식된 만큼 조선시대 문인들이 선주교시에서 강상을 주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양상이다. 1)2)의 양상이 일반적이라면 3)4)의 양상은 주로 국난의 위기에 처한 때에 강조되고 있다. 특히 조선말기 우국지사의 시편에서 나타난다. 5)의 양상은 유학자들의 시편에서 강조되고 있다.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선죽교는 고려왕조와 포은 정몽주를 연상시키는 유적이다. 정신적으로 충절과 강상을 표상하는 성물(聖物)이다. 특히 선죽교의 혈흔(血痕)은 포은의 죽음을 더욱 신성(神聖)하게 한다. 아울러 선죽교와 함께 읍비는 주군인 포은에 대한 녹사의 충정을 회상케 하는 매체로 형상화되고 있다.
조선시대 말기 혼란한 정황과 국가 존망의 위기가 닥쳤을 때 포은과 함께 선죽교는 더욱 주목 받았다. 이 당시 최익현·송병선·김윤식·조긍섭 등은 충절과 우국충정을 담아내는 매체로 선죽교를 형상화하는데 적극적이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organize perception and poetic figuration of Sonjukkyo of Joseon dynasty s writers who visited Sonjukkyo in Gaeseong. Joseon dynasty s writers witnessed blood of Sonjukkyo, mourned, overwhelmed by
feelings of grief and encouraged the next generation to bear doctrine of sacrifice in mind. Then they wrote poem with that feelings. These kinds of poems is so called Sonjukkyosi(善竹橋詩) and the various poetic figurations are arranged in this paper.
For Joseon dynasty s writers, Sonjukkyo is not simply a historical site of Jolmyeongji(卒命地) where Poeun is knocked to death. The site is a symbol of allegiance and a home for Joseon dynasty s Kangsang(綱常)
which is advocated Confucian politics. For patriots(憂國之士), Sonjukkyo is considered a sacred place(聖地) where they promised cordiality decisively in life and death for the nation.
The poetic figuration exposed in Sonjukkyosi of Joseon dynasty s writer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1) Remembrance(懷古) 2) Lament(哀悼) 3) Praise for Poeun s valuable death 4) Allegiance(忠節) 5) Morality
(綱常). That kind of part can be exposed in complex aspects as well. This paper is focusing on poetic words with the contents.
1) The type of remembrance appears mainly on the writer s psalms in the early years of the dynasty. This is the moaning aspect of the Koryo dynasty s fortune through the barren field and sunset around Sonjukkyo. 2)
The type of broken heart and mourning is the most common aspect, which is writers who witnessed Sonjukkyo and Euppi(읍비) is expressing sorrow and mourning about Poeun s death. 3) In the type of praise for Poeun s
valuable death, Poeun is recognized as a loyal servant who complete his life span with the Koryo dynasty and his death is embodied based on Jeongmyeong(正名) idea. 4) In the type of allegiance, Poeun is regarded
as Gochung(孤忠), Euisa((義士), and Yeolsa(烈士) and is embodied comparing baekee(伯夷) and Wen Tianxiang (文天祥). 5) In the type of morality, Poeun is rather praised for affecting the morality of the immortality
on the next generation even if he died for the loyalty from having in the wrong century. It is natural aspect that Joseun dynasty s writers know the morality in Sonjukkyosi since Poeun is recognized as an ancestor of
Neo-confucianism. 1) and 2) are general aspects and 3) and 4) highlight largely national crisis. It appears on patriot s psalms o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5) is highlighted in the psalms of confucianist.
Joseon dynasty writers regard Sonjukkyo as a historial site where it reminds the Koryo dynasty and Poeun Jung Mongju. Sonjukkyo is a sacred treasure which presents allegiance and morality spiritually. The blood of
Sonjukkyo makes the Poeun s death more sacred. Euppi is embodied as a medium which recalls Noksa s loyal towards a master Poeun with Sonjukkyo.
Sonjukkyo is even more noted when chaotic circumstances and national crisis hit the end of the Josenon dynasty. At that time, Choi Ikhyun, Song Byeongseon, Kim Yunshik, and Jo Geungseop are active in embodying
Sonjukkyo as a medium which involve the patriotic spirit.
목차
1. 머리말
2. 선죽교의 ‘혈흔’과 ‘읍비’에 대한 인식
3. 선죽교시에 표출된 시적 형상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