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I 경연 대회와 연계한 창의적 체험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사례 고찰

이용수  26

영문명
Case Review of Implementing a Creative Experiential Program Connected with a DI Contest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전영국(Young cook Jun)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3권 제1호, 67~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 현장은 창의 체험 활동을 중시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창의 경연 대회에 참가하면서 체험하고 배우는 경험이 많은데도 대회 참가 실적을 인정해 주지 않는 이중성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농산촌 지역의 학생들이 팀별 협력을 중심으로 창의적인 체험 활동을 하고 그 연장선에서 DI 경연 대회에 참가하면서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를 이해하는데 있다. 팀별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고안하고 구현하는 Fun 아카데미 프로그램은 2012년 7월부터 2013년 5월까지 K영재교육원 소속의 학생 중에서 선발된 초등 및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주말 방과후 프로그램과 방학 캠프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동사진, 동영상, 소감문 및 후속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고 형성 평가의 일환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 로 참여 학생들은 과학적 탐구 활동과 연극적 활동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팀별 역할 분담과 조절 등에 관한 역동성을 보여주었으며 창의적인 표현력 증가 및 자신감의 향상 등의 혜택을 얻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imed to understand practical cases in which a collaborative team-based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promote creativity and humanity of students. The participat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resented creative ideas and produced artifacts in team collaboration, to participate in a DI creative contest. The annual creative project program was conducted between July 2012 and May 2013 in K province as part of a gifted education program after school classes on weekends and winter vacation camp. The collected data included an annual report, photos, video clips as well as post-hoc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both in the project and the creativity olympiad contest. The main features of the program turned out to be very similar to invention educational program which guides participating students to design creative ideas, develop story plot and produce their artifacts, using open-end tools to make their own invention, in team collaboration. Those students who were engaged in scientific exploration and story-telling activities showed team dynamics to coordinate each member’s role, as well as positive responses to improve individual skills to express themselves and their self-confidence.

목차

I.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 절차 및 방법
IV. Fun 아카데미 창의 체험 프로그램 운영 사례
Ⅴ. 창의 경연 대회에서 팀별 미션 수행 사례
VI.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국(Young cook Jun). (2017).DI 경연 대회와 연계한 창의적 체험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사례 고찰. 질적탐구, 3 (1), 67-95

MLA

전영국(Young cook Jun). "DI 경연 대회와 연계한 창의적 체험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사례 고찰." 질적탐구, 3.1(2017): 6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