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A Promising Line Adaptable to Extremely Early Cultivation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이종희(Jong-Hee Lee) 오성환(Seong-Hwan Oh) 김상열(Sang-Yeol Kim) 조준현(Jun-Hyeon Cho) 이지윤(Ji-Yoon Lee) 여운상(Un-Sang Yeo) 송유천(You-Chun Song) 최경진(Kyoung-Jin Choi) 박태선(Tae-Seon Park) 강항원(Hang-Won Kang) 이학동(Hag-Do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2 No.4, 407~41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벼 2기작 재배의 전기작 재배에서 농업적 특성 및 품질 등을 고려하여 선발한 유망계통 ‘밀양255호’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극조생 공시계통인 ‘밀양255호’의 출수기는 7월 3일로 대비품종인 ‘진부올벼’보다 2일 늦었으며, 간장과 수장은 각각
58.3 cm, 16.0 cm이며,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각각 18.0개 52.5개였다. 수량은 394 kg/10a로 12%정도 증수되었다.
2. ‘밀양255호’의 현미의 길이, 폭 및 두께는 각각 4.19 mm, 2.64 mm 및 1.91 mm의 단원형이며, 장폭비는 1.59로 ‘진부올벼’ 1.48에 비해 약간 긴 편이었다. 현미 천립중도 21.0 g으 로 ‘진부올벼’에 비해 3.2 g 작았다.
3. ‘밀양255호’의 단백질 함량과 아밀로스 함량은 ‘진부올벼’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밥의 윤기는 높고 경도는 낮았다.
4. ‘밀양255호’는 백미완전미율이 91.2%로 ‘진부올벼’ 62.4%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분상질립율은 3.0%로 낮았으며, 8월 5
일경 수확한 시험구에서 등숙율과 백미완전미율이 높았다.
영문 초록
Recently, peoples are greatly concerned with global temperature change because global warming can be a potential serious effect on agriculture production such as yield reduction and poor grain quality. On the other hand, it can bring some beneficial effects through twice cultivation of rice in temperate reg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we developed extremely early-maturing rice ‘Milyang255’ which heading date was similar with ‘Jinbuolbyeo’. Base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Milyang255’, it has very short stature as 65 cm of culm length and slightly lower spikelets number per panicle compared with that of ‘Jinbuolbyeo’. However, the grain appearance, palatability and other items were better than those of ‘Jinbuolbyeo’ in panel test of cooked rice. The milled rice yield of ‘Milyang255’ is 3.94 MT/ha at the early transplanting. Especially, its grain filling rate was higher and faster than Jinbuolbyeo and the head rice ratio in milled rice was also higher. Thus, ‘Milyang255’ can efficiently reduce the growth duration of rice cultivation and also be useful material for research on twice cultivation of rice in Korea.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적 요
인 용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딸기 교잡육종 시 품종적 성능에 미치는 자방친의 효과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QTL-NILs for Grain Weight from an Interspecific Cross in Rice
- Soybean Improvement for Drought, Salt and Flooding Tolerance
- Enigma of Small Peptides Ubiquitin and SUMO in Plants
- ‘일품’벼 체세포변이체의 표현형과 후대변이
- 멜론 및 참외 순도 검정을 위한 SNP 마커 개발 및 F 1 종자 순도 검정
- 벼 극조기 재배 적응 유망계통의 농업적 특성
- Efficient Phosphinothricin Mediated Selection of Callus Derived from Brachypodium Mature Seed
- A TILLING Rice Population Induced by Gamma-ray Irradiation and its Genetic Diversity
- 한국 달래의 자생 특성
- Fruit Yield and Quality Evaluation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F 1 Hybrids Derived from Inbred Lines
- 잡초성벼인 강화앵미11 유래 잎도열병 저항성 유전자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