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합양식으로서 만화 텍스트 표현 활동 사례에 대한 연구
이용수 289
- 영문명
- A study on the case of expressing cartoon texts as multimode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최건아(Choi Geon ah) 김경민(Kim Kyoung min)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1권 제2호, 161~201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만화는 글과 그림이 종합된 복합양식 텍스트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어 교육의 도구로 자주 사용되는 텍스트이기도 하다. 그러나 만화를 교육 텍스트로 다룬 선행 연구는 학습자를 만화의 수용자에 제한하거나,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글과 그림의 결합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한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1주간 진행된 만화 텍스트 표현수업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 표현 교육의 의의 및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수업 사례에 대한 관찰 및 분석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만화에 있어서 내용의 전달보다 그림의 표현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학습자는 교과 학습의 수단으로 만화 텍스트 표현 교육의 의의를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복합양식의 분석 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기호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Cartoon is multimodal text concluding written texts and pictures. Moreover, cartoon is used for instructional materials because of learners’ being intimacy with cartoon. Prior researches, however, restricted learners’ position as cartoon readers and could not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ten texts and pictures sufficiently. As a result, this research was set for study the meanings and intention points of multimodal text expressing by analyze a case of cartoon text expressing class lasting 11 week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participants focused on painting rather than contents delivering. Second, learn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omposition education of cartoon texts. Third, the standards of analysis for multimodal texts are needed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new literacy. This research’s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and researchers need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and use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various codes and to express multimodal texts actively.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만화 텍스트 표현 활동에 대한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설득 전략 양상 연구
- 2015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영역 성취기준의 응집성과 계열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쓰기 과제의 주제 상세화에 따른 쓰기 능력과 쓰기 효능감 관계에 대한 교육적 함의
- 복합양식으로서 만화 텍스트 표현 활동 사례에 대한 연구
- 자유학기제 국어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연구
- 틀 의미론을 적용한 시어의 의미 탐구 가능성
- 국어-미술 융합 교육을 통한 고전시가의 ‘형상화’ 교육 방안 연구
- 고전소설의 특징과 그 기원에 대한 변증
- 청소년 시의 새로움과 가능성
- 복수접미사 ‘-들’과 서양 문법의 ‘수 범주’ 연구
- 국어교육에서 수업대화 연구의 경향과 과제
- ‘전문(全文) 읽기’를 통한 「흥부전」 가르치기
- 읽기 전 활동 ‘시 창작’을 통한 시 감상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