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on on the Elementary-school Children s ability of Estimation and Measurement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한광래(Kwang Lae Han) 류재인(Jae In Ryu) 문병찬(Byoung Chan Moon)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현장연구』교과교육연구 25권 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ong with an observation, a measurement is an important element in scientific inquiry. This study is focused to use as fundamental data for teaching and evaluation of measurement domain in elementary curricula, investigating measurement abilities and trends to length, weight and volume kept by the present elementary students.
From this study, it suggests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measure in length better than in weight and/or volume. Although valuable interrelationships are not established among above specific measurement domains, a meaningful interrelationship (0.05<) in volume domain is formed between constructed (A) and estimated measurements (B). In addition, length represents less error ranges than that of weight and volume in measurement ability. And, much large errors appear between estimated and real weight and volume values. The results are maybe derived as the present elementary students have not undergone and operated real objects, frequently.
So, it is necessary that more operation learning chances through surrounding objects (eg. bricks, milk packs, beverage and yogurt bottles) to improve estimated measurement ability for length, weight and volume should frequently give to the students as quantitative observation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과학수업의 소집단 토론의 특징 및 상호작용 유형
- 제7차 특별활동 교육과정 정착을 위한 담임교사의 역할 탐색
- 홀리스틱 교육과 자연과학의 연관을 위한 방법 모색
- 영어 속격의 유형과 의미
- 초등학교 학생들의 어림 및 측정능력에 관한 연구
- ICT를 활용한 수학과 교수-학습방안 연구
- 칼 오르프의 음악교수법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수업안 연구
- 그림?문자카드와 창작동화의 활용이 정신지체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북정책의 성과와 통일환경변화
- Teaching Practice Changes Through Professional Staff Development Program
- 유치원과 초등학교 읽기?쓰기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장학담당자와 교사의 행동특성이 장학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제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공학 관련 STS 자료 분석
- 웹기반 원격 교원연수의 개선 방안 연구
- 제 7차 초등학교 과학과 학습자료 분석 및 실험준비를 위한 연구
- MoS2 박막의 구조와 광학적 특성
- 산, 염기 및 산-염기 반응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연구
- 7차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교육의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내 영어교육 연구동향: LDA 토픽모델링과 체계적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다움의 무게를 견디며 : 신규교사의 감정소진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전문상담교사의 학부모·학생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