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사선투시장비를 사용한 검사에 참여하는 소화기내과 소속 간호사들의 의료용 방사선에 대한 의식도 조사
이용수 36
- 영문명
- Radiation Consciousness of Gastro-intestinal Nurses Who Work in Radiation area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황민호(Min Ho Hwang) 조한영(Han Yeong Cho) 문규오(Kyoo O Moon) 엄준용(Joon Yong Uhm) 손순룡(Soon Lyong Son) 박철수(Cheol Soo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0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75~8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o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consciousness of gastro-intestinal nurses who work in radiation area for ERCP, PTCS, Enteroscopy, Colon stent exam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his is intended for full-time twenty nurse(male 2, female 18). The research were used 5-point scale survey about radiation basic knowledge, behavior during examination, exposure management and attended a radiation education. W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period of examination, age, exposure time and radiation consciousness. We also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 basic knowledge, behavior, management and radiation consciousness using SPSS ver 12.
Results : Total average consciousness was 3.92 point, total raditaion knowledge level was 3.59 point, total behavior level was 3.79 point and total radiation safety management level was 4.66 point. Female nurse has high level radiation consciousnes rather than male nurse. Radiation consciousness has nothing to relationship with period of examination, age of nurse and exposure time during examination. Everybody did not attend a radiation education. Twelve people do not knows about a radiation education. Six people could not attend due to overtime work Two of them did not attend due to disinclination.
Conclusion : Management about radiation exposure of gastro-intestinal nurses is very well but their radiation basic knowledge is lower compare with average radiation consciousness. The reason for this is lack of education of medical radiation. Therefore, we should make effective and realistic education project about medical radiation for gastro-intestinal nurses.
목차
Abst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사선투시장비를 사용한 검사에 참여하는 소화기내과 소속 간호사들의 의료용 방사선에 대한 의식도 조사
- 선원에서 X선 방어용 칸막이간 거리가 상이한 유방촬영실의 공간 산란선량 비교
- 수술 중 X-ray 검사 시 Cassette Draping에 대한 고찰
- Source Image Distance 변화에 따른 환자 및 검사자의 피폭선량 비교
- 조기크론병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임상양상과 성격유형의 비교분석에 따른 Peroral Pneumocolon Technique의 유용성
- 담관 결석 발생과 재발에 있어 십이지장 팽대부 주위 게실과의 상관관계
- 소아 투시조영검사 시 Pulse rate별 화질분석을 통한 저선량 모드 선택에 관한 연구
- 유방촬영술에서 방사선 반 투과성(Radiolucent) 패드(Mammo Pad)의 유용성 관한 고찰
- 투시조영검사 시 환자 피폭선량 저감화 대책에 관한 연구
- 폐경기 여성에서 DXA를 이용한 Lateral Vertebral Assessment의 유용성
- Fracture of Hamate Hook의 유용한 방사선 단순촬영법에 대한 고찰
- 개선된 Fulcrum을 이용한 Bending radiograph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 Shoulder Rockwood 검사법에서 Position 변화에 따른 Image Quality 향상을 위한 연구
- DR Mammography에서 평균유선선량 감소를 위한 방안
- 고관절 표면 치환술 환자의 LATERAL 검사법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