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폐경기 여성에서 DXA를 이용한 Lateral Vertebral Assessment의 유용성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Usefulness of Lateral Vertebral Assessment with DXA in Postmenopausal Women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오유나(Yu Na Oh) 전해경(Hae Kyeong Jeon) 권순안(Soon An Kwon) 민관홍(Kwan Hong Min) 김성룡(Seong Ryo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0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127~13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Osteoporosis is defined as a skele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decreased bone strength and increased risk of fracture. Although many vertebral fracture are clinically silent. they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subsequent osteoporotic fracture in postmenopausal women. We evaluated the ability of clinicians using dual-energy Lateral vertebral assessment(LVA) to detect prevalent vertebral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 Dual-energy LVA and conventional thoracic and lumbar spine radiography were concurrently obtained in 158 postmenopausal women. Using an established visual semiquantitative system. vertebral fracture were identified individually by a radiologist clinicians on LVA imag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spinal radiograph evaluation by two expert radiologist. and we retroprospectively compare each BMD category.
Results : LVA clinicians correctly identified 94% (76/72) of radiographically defined grade 1~3 vertebral fracture among 158 subject. Women(76) with vertebral fracture were divided up by BMD category, osteoporosis in 85%(65), osteopenia in 15%(11).
Specifically most of women with vertebral fracture don’t have back pain. they were only 38%(29/76) Conclusion : Thoracic and lumber spine x-ray are the gold standard for vertebral fracture. LVA provides a more practical screening tool due to the lower radiation(0.083mSv) dose and its availability at the point of service for women attending for DXA. May be screening tool for osteoporosis clinical trial in postmenopausal women.
목차
Abst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사선투시장비를 사용한 검사에 참여하는 소화기내과 소속 간호사들의 의료용 방사선에 대한 의식도 조사
- 선원에서 X선 방어용 칸막이간 거리가 상이한 유방촬영실의 공간 산란선량 비교
- 수술 중 X-ray 검사 시 Cassette Draping에 대한 고찰
- Source Image Distance 변화에 따른 환자 및 검사자의 피폭선량 비교
- 조기크론병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임상양상과 성격유형의 비교분석에 따른 Peroral Pneumocolon Technique의 유용성
- 담관 결석 발생과 재발에 있어 십이지장 팽대부 주위 게실과의 상관관계
- 소아 투시조영검사 시 Pulse rate별 화질분석을 통한 저선량 모드 선택에 관한 연구
- 유방촬영술에서 방사선 반 투과성(Radiolucent) 패드(Mammo Pad)의 유용성 관한 고찰
- 투시조영검사 시 환자 피폭선량 저감화 대책에 관한 연구
- 폐경기 여성에서 DXA를 이용한 Lateral Vertebral Assessment의 유용성
- Fracture of Hamate Hook의 유용한 방사선 단순촬영법에 대한 고찰
- 개선된 Fulcrum을 이용한 Bending radiograph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 Shoulder Rockwood 검사법에서 Position 변화에 따른 Image Quality 향상을 위한 연구
- DR Mammography에서 평균유선선량 감소를 위한 방안
- 고관절 표면 치환술 환자의 LATERAL 검사법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