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ociocultural Dimensions of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Korean American Immigrants: Findings from a Qualitative Approach
이용수 28
- 영문명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이희윤(Hee Yun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사회복지정책과 실천 2권 2호, 5~3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거주하는 노령층 한국인 이민자들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 거주하는 301명의 한국인 이민자들을 인터뷰하였다. 질적 데이터 분석을 위해 Braun과 Clarke이 2006년에 개발한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질적 분석을 통해 생활만족을 구성하는 여덟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는데, 그 요인들은 (1) 가족과 가족관계, (2) 건강상태, (3) 재정상태, (4) 종교, (5) 취미와 사회경제적 활동, (6) 친구, (7) 생활에 대한 긍정적 태도, 그리고 (8) 독립적 생활과 대중이 지지하는 활동 가능성이다. 주요연구결과로는 가족, 특히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생활만족에 있어서 중요한 차원으로 발견되었다. 그래서 성인자녀와의 빈번한 상호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과 활동이 노년층 한국인 이민자들의 생활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발될 필요가 있다.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노인아파트 혹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센터에서의 교육프로그램도 노령층 한국인 이민자들을 위한 개입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민족의 문화적 특성에 맞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생활만족 척도 개발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alient dimensions of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Korean American immigrant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by conducting in-person interviews with 301 older Korean American immigrants residing in Los Angeles County in California. Braun and Clarke’s (2006)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develop themes and indicators of life satisfaction. Eight major themes were emerged that consisted of life satisfaction: (1) Family and family relations, (2) health Status, (3) financial security, (4) religion, (5) hobbies and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6) friends, (7) positive attitudes toward life, and (8) independent living and availability of public support/servic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amily, particularly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 is the critical dimension of life satisfaction in this population. Community-based programs and activities that promote frequent interaction with adult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older Koreans’ satisfaction with life. Operating these educational programs in senior apartments or senior community centers as one of regular programs will serve as a sustainable intervention strategy for this population. The findings can be also use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ethnic-specific scale of life satisfaction that is culturally competent and appropriat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Findings
Ⅳ. Discussion
Ⅴ. Limitations
Ⅵ.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Reference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