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세국어 ‘ㅇ’의 음가 해석에 대한 재고
이용수 99
- 영문명
- The Sound of ‘ㅇ’ in Middle Korean Revisited
- 발행기관
- 현대문법학회
- 저자명
- 허용(Yong Heo)
- 간행물 정보
- 『현대문법연구』제20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6.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discuss the sound of ‘ㅇ’ in Middle Korean. It has been assumed that this orthography is pronounced in two ways. One is zero when it appears in word-initial position, and the other is a consonant like [ɦ] when it appears in other positions such as ‘놀애(song)’. It has been taken for granted that /ㄹ/ in this word is realized as [l] rather than [r]. Since Korean liquid is realized as [r] between two vowels and is realized as [l] either before a consonant or at the end of a word, there is no way to interpret the sound as a consonant. In addition there is an apparent historical evidence that this was a consonant in an earlier period. However, I claim that this orthography represents an empty onset which has phonological position with no segmental content. We can see that some similar examples are found from the languages of Seri and French. We also see that the sound of ’ㄹ‘ in the preceding syllable is realized as [l] since it is followed by a licensed empty nucleus which makes the preceding consonant unreleased.
목차
Abstract
I. 시작하는 말
II. 다른 언어의 경우
III. 우리말의 경우
IV.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