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황산바륨을 이용한 소화관조영검사의 관전압 설정을 위한 실험적 고찰
이용수 6
- 영문명
- A Experimental Study on Suitable Tube Voltag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Examination Using Barium Sulfate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길미경(Mi Kyung Kil) 손순룡(Soon Yong Son) 이원홍(Won Hong Lee) 강성호(Seong Ho Kang) 이용문(Yong Mo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05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43~46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define the suitable tube voltag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examination using barium sulfate. X-ray fluoroscopic unit with undertable tube system, fluoroscopic phantom equivalent to 21.5cm abdomen
(CDRH phantom, Nuclear associates, USA), image quality test tool including high contrast resolution patterns and low contrast objects, and w/v 200% BaSo4 of 1mm thicknes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test equipments were set up in the order of test tool, fluoroscopic phantom, and barium sulfate on the tabletop, and set the field of view (FOV) of to the mode 23cm(9inch) FOV. We exposed radiation to 5kVp increments from 60 to 125 kVp with automatic exposure controler (AEC) without and with barium sulfate, and then counted the number of high contrast mesh patterns and low contrast holes on the printed images.
The number of high contrast mesh patterns and low contrast holes visible should be a minimum of 5 patterns and 6 holes on the printed images. In the test without barium sulfate, the number of high contrast mesh patterns(low contrast holes) was 5(6), 5(6), 5(6), 5(6), 5(6), 5(6), 5(6), 5(6), 5(4), 5(4), 5(4), 4(4), 4(4), 4(4), at 5 kVp intervals from 60 to 125 kVp ,respectively. In the test with barium sulfate, the number of high contrast mesh patterns (low contrast holes) was also 5(5), 5(5), 5(6), 5(6), 5(6), 5(6), 5(5), 4(5), 4(5), 4(4), 4(4), 4(4), 4(4), 4(4), respectively.
We propose that the suitable tube voltag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examination using barium sulfate is 85 kVp before and after, because a low kVp lengthens the exposure time.
목차
Abst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