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s for Special Education Supervision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주영(Ju-young Kim)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현장연구』교과교육연구 30권 2호, 149~1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figure out different responses to the role of the teachers and the between government school inspector for special education and teacher. Objec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special education inspectors and teacher.
Both inspector and teacher have same perception that education program is required but they had different perception about the degrees of constitution to the education, preparedness when teaching, education methods. It showed that inspector has higher degrees of un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It showed that inspector thinks that their special education is professional but teacher do not think in that way. Although inspector said that they are doing their best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morale, teacher did not agree with that.
In case of special education process, objects responded that operating a class for special education purposed is the upmost important subject. Even though it showed comparatively low socail perception, they showed high motivation about helping students in need of specail assistances.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program, there should be an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institution and in detail, the teachers mentioned about professional program, and inspector mentioned st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showed that both of them thought the peer assistance and review is the most efficient way.
With these study results, we can concluded that we need to establish organized training program for inspector, make strict qualifications for them, and use that standard for human resources to analyzed the reality and find a better way for special education program. Once hired, educator still need to be trained continuously. For an effective education, both inspection and teacher need to cooperate closely and that should be followed a nontraditional, informal
direction which is actually helpful for this situation.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교사 되기
-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기초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
- 대입선진화와 고교
- 지방교육자치제도에 관한 법률 분석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장애통합교육보조원의 인식비교
- 음악교수에서 피날레 2009를 활용한 창작 학습 방안
- 특수교육 장학행정의 실태 분석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예술행사가 비장애인의 장애인 인식에 미치는 효과
- 음악 교육에서의 대중음악 활용에 관한 연구
- 사회변화와 사범대학의 대응
- 圓錐曲線에 관한 硏究
- 좋은 학교, 좋은 선생님
- 교과교육연구 제30권 2호 목차
-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과 과제
- 2009 조선대학교 음악교육과 전공교육과정 운영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