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of Perception on Operating the Teacher-Aid System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민경(Min Kyeung Park) 이승희(Seung hee Lee)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현장연구』교과교육연구 30권 2호, 69~10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perception on operating the teacher-aid system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To do th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3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41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general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or special schools in the area of Gwangju. Sixty nin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return rate: 82.1%) and they
were analyz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regarding the difference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perception on qualification and role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educa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use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Data analyse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5 items(school career, roles important for suppor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ole conflicts, counseling, way of work order) out of 9 items in the component of qualification and role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4 items(type of employment, period of contract, content of job training, degree of usefulness of job training curriculum) out of 8 items in the component of educa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7 items(working hours, personnel management, effective areas, limit of responsibility, evaluators, work attitude, frequency of activity plan) out of 9 items in the component of use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research and some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교사 되기
-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기초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
- 대입선진화와 고교
- 지방교육자치제도에 관한 법률 분석
-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장애통합교육보조원의 인식비교
- 음악교수에서 피날레 2009를 활용한 창작 학습 방안
- 특수교육 장학행정의 실태 분석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예술행사가 비장애인의 장애인 인식에 미치는 효과
- 음악 교육에서의 대중음악 활용에 관한 연구
- 사회변화와 사범대학의 대응
- 圓錐曲線에 관한 硏究
- 좋은 학교, 좋은 선생님
- 교과교육연구 제30권 2호 목차
-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과 과제
- 2009 조선대학교 음악교육과 전공교육과정 운영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