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육면체의 회전체를 통해 본 기하와 벡터 교과과정의 적절성
이용수 76
- 영문명
- On the relevance of the school geometry curriculum through the solid of revolution generated by a cube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진홍(Jinhong Kim)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현장연구』교과교육연구 37권 2호, 35~5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고등학교의 기하와 벡터 교과과정은 공간 지각력을 향상하고 공간에 대한 아이디어와 탐구 결과를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며 기하 문제를 대수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논문에서는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기하와 벡터의 내용이 실제 생활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그 한계는 무엇인가를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중·고등학교 기하와 벡터 교과내용의 구성과 수업에 주는 시사점을 생각해 보고 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urriculum of geometr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helps students to improve their spatial intuition and provide some basic skills to express their mathematical ideas. Moreover, it enables students to solve given geometric problems through relatively more manageable algebraic techniques. The aim of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how much geometric fac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help us to solve practical geometric problems. In particular, we want to solve the geometric shape of the solid obtained by revolving a cube about the diagonal axis. During this process, we can clearly figure out what geometric knowledge we need more. We hope that this paper gives some hints and limitations about the relevant curriculum of geometr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기하와 벡터의 기본 개념
Ⅲ. 기하와 벡터의 활용 사례 - 팽이 문제(spinning top problem)
Ⅳ. 기하와 벡터의 주요 개념 - 방향성과 강체운동
Ⅴ. 결론 및 시사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4 Contents
- 马克思“世界文学”思想:生成审思、意涵揭橥与启示探赜
- 毛泽东建构中国共产党形象的核心要义、历史经验及现实启示——重读《〈共产党人〉发刊词》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