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제부흥원조의 시작과 기업의 대응
이용수 170
- 영문명
- The Allocation of Foreign Aids among Korean Firms in 1954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저자명
- 류상윤(Sang-Yun Ryu)
- 간행물 정보
-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32집 제3호(통권83호), 5~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은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변신한 드문 사례이지만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거시적인 수준에서 한국 경제발전에서 원조의 역할을 부정적 또는 소극적으로 평가해왔다. 그런데 미시적인 기업 레벨로 눈을 돌려 1950년대 원조가 1960년대 이후 활약하는 한국 기업들의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면방직업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토대로 한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이해는 1950년대 기업 성장이 원조 자금 배분 과정에서의 특혜나 부패, 지대추구행위와 결부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종합 적인 연구는 자료 부족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당시 미국 원조기관이 남긴 자료를 활용해 원조자금 배분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실제 어떤 기업들이 배분에 참여했는가를 1954년 한 해를 사례로 살펴보았다. 1954년은 미국 대외 원조기관인 대외사업처(FOA)의 경제부흥원조가 본격화된 해이다. FOA 원조의 배분은 5가지 구매형식에 따라 이루어졌는데 원조기관의 한 부서인 중소기업국에서 발행한 Small Business Circular와 Fianced Awards로부터 그 중 일반 민수 구매와 외자청 구매의 낙찰 기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널리 알려진 면 방직업체 외에도 많은 한국 기업들이 원조 자금을 배분받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 중 에는 삼성물산이나 럭키화학과 같이 현재 한국 경제에서 활약하고 있는 기업도 포함돼 있다. 특히 무역업체들이 자금 배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낙찰을 받았다. 즉, 면방직업 체가 원조로부터 막대한 이득을 얻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밖의 기업들도 원조를 통해 성장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그 중에는 상당한 규모의 자금을 배분받은 기업들도 있었던 만큼 면방직업을 원조-기업 관계의 전형적인 예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특히 경쟁적인 입찰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특혜나 부패, 지대추구행위가 일반적이었다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Korea is a rare case which used to be a major aid-receiving countries but became one of advanced economies. However, many previous literatures have displayed negative views of the active role of foreign aids. Even in the micro-level, general understanding is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 firms were accompanied by unfair treatments, corruption and rent-seeking activities, in spite of lack of comprehensive analysis due to few data. This study uses documents of U.S. foreign assistance agencies to find how the allocation of aid funds worked, and how Korean firms participated, especially in 1954, the start year of FOA (Foreign Operations Administration) aids. Aid funds were allocated by five different methods, two of which included bidding procedures. Lists of successful bidders were publicized through two publications of the Office of Small Business: Small Business Circular and Financed Awards . They showed that besides well known big cotton mills many Korean firms received aid funds, among which were the Samsung Moolsan and the LG Chemical. Especially, many trade firms were on the lists, which indicates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bidding to expand their business. Because competitive bidding seems to have been widely applied to aid funds allocations, general negative understanding of aid-firm relations based on case studies of the cotton industry needs to be reexamined,
목차
Ⅰ. 머 리 말
Ⅱ. 1950년대 경제부흥원조
Ⅲ. 1954년 FOA 원조와 한국 기업의 대응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Editorial] Management Insight Review: A New Platform for Insightful Scholarship
- Shaping Ethics at the Top: How Team Mental Models Influence Top Managerial Behavior
- The Impact of AI Adop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Operational Efficiency in Indonesian Small Business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