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의 성장사 연구
이용수 121
- 영문명
- The Historical Review Study of the Growth in the Korean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저자명
- 곽기호(Ki-Ho Kwak)
- 간행물 정보
-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32집 제3호(통권83호), 25~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후발국의 기술 획득・개발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의 성장사를 1단계 ‘기술 도입 및 산업 클러스터 구축기(한국전쟁 이후~1970년대)’, 2단계 ‘생산 및 부품 국산화 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 내재화기(1980년대~1990년대 초)’, 3단계 ‘대일무역 역조 개선을 위한 기술 자립화기(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 그리고 4단계 ‘전략 수출산업으로의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초・원천기술 도전기(2000년대 후 반~현재)’로 구분하고, 단계별 정부의 역할과 주요 성과, 그리고 난관을 심층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기술도입에 의한 제품 생산, 자체브랜드 제품 생산, 부품 국산화 및 무역 흑자 달성, 세부 업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의 성과를 순차적으로 달성 하며 약 50년 만에 세계 6위의 일반기계산업 생산국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2012년 이후 성장 정체에 직면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 확충이라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기계산업의 육성 과정에서의 정부의 역할과 산업계의 성과를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수립의 성공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후발국의 기술 획득・개발 모형과 같은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성장사를 고찰함으로써 연구결과의 분석적 일반화를 제고함은 물론 산업 성장사와 관련한 후속 연구를 위한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growth history of the Korean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latecomer’s technology acquisition and development framework. Based on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various data and evidence, we found that the growth of the industry has been progressed as “Phase 1: Technology Licensing and Industry Cluster Development (the Korean War~1970s)”, “Phase 2: Technology Internalization for Localization of Production and Component Technology (1980s~the early 1990s)”, “Phase 3: Technology Independence for Overcoming an Adverse Balance of Trade toward Japan (the mid 1990s~the mid 2000s)”, and “Phase 4: Growth as a Strategic Export Industry and Challenging Basic and Core Technology Development (the late 2000s~current)”. Throughout the phases, we examined that the industry has achieved successive technology acquisition and development, such as transition fro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to original brand manufacturer, the localization of components, trade surplus, achievement of global competitiveness in various sub-sectors, and thus, it has ranked sixth in production and eights in export worldwide since 2010. But we also found that the industry confronted with the stagnation of growth after 2012 and faced the challenge to secure basic and core technology. Our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government as a best practice to nurture similar industries.
Lastly, by utilizing theoretical framework in investigation, our study also provides important theoretical ground for subsequent historical review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의 성장사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