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eters 동기이론의 도덕교육적 의의
이용수 270
- 영문명
- The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eters Motivation Theor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준식(Park, JunS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8호, 673~6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eters의 동기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덕적 지식의 성격을 분명히 함으로써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덕적 지식은 행동 실천력이 없다는 일반적 통념으로 인해, 도덕과 교육에서 지식 이외 별도의 교육을 해야 한다는 관점이 당연시되어 왔다. 하지만 Peters의 분석에 의하면 그것은 심리학의 동기 이론이 야기한 오해, 즉 이유(reason)를 원인(cause)으로 대치한 결과 빚어진 것이다. 그가 보기에 동기는 본래 특정한 형태의 이유(reason)로, 지식을 부르는 또 다른 명칭이다. 즉, 동기는 지식과 별개로 하나의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이 한 인간의 행동 원리가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Peters는 도덕교육이 특별한 동기, 즉 도덕적 지식이 삶의 원리가 되는 합리적 열정을 개발하는데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도덕적 동기로서의 합리적 열정은 도덕적 진리에 대한 탐구를 통해 형성되며, 이 합리적 열정을 가진 학습자는 도덕적 지식과 자기 자신을 분리하지 않게 된다. Peters의 동기 이론은 바로 이 점에서 지식을 가르치는 도덕교육이 명제 수준에서 도덕규범을 전달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고, 그 지향점을 학습자가 도덕적 진리의 궁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데 두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by clarifying the character of moral knowledge through analysis of Peters motivation theory. According to Peters analysis of motivation, the conception of motivation is not a cause as it is defined in psychology. It is a certain type of reason, another name for calling the special knowledge . In other words, motivation does not exist as a Independent cause but is a form in which the subject s knowledge becomes the principle of his action. Peters points out that moral education should be concerned with developing a special motivation, a rational passion. The learner has a rational passion through a profound study for moral truth, and thereby accepts the truth as his truth. Peters suggests that moral education, which teaches knowledge, should not focus on the transfer of moral norms, and that students should be placed in the palace of moral truth.
목차
Ⅰ. 서 론
Ⅱ. 도덕교육과 동기
Ⅲ. Peters의 동기이론
Ⅳ. 결론: 도덕교육적 의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육학과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에 대한 좋은 수업 만들기:
- Extensive Listening and Intensive Listening in Blended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 언어자료기반학습(Data-Driven Learning)을 적용한 중학생 어휘 학습 효과 연구
- IT 교양영어 ESP 커리큘럼이 학습자 전공 영어 표현 능력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셀프리더십의 관계
-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놀이교과 수업에서의 쿠레레(Currere) 방법 적용에 대한 경험
- 그림책의 글과 그림 관계 유형에 따른 아버지 그림책 읽어주기 양상
- 첫째 자녀의 초등학교로의 전이과정에서 어머니 경험에 대한 탐색
- 영유아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 및 조절효과
- 어휘 강화 학습전략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 고정관념과 편견의 근원을 찾아서
- 실행식 기반 쌓기나무 학습의 평가 및 지도 방안 연구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화학 부분 성취기준 비교 분석
- 보육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행복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초등예비교사의 지각된 스포츠문화 분석
- 고경력 보육교사의 교직생활 어려움과 이탈위기에 관한 연구
- 백워드 설계를 통한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의 통합적 접근
- 영국 2013 국가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요소 분석
- 예비교사가 인식한 플립드 러닝 교수학습 효과 연구
- 교과서와 연계한 장애·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관계
- 초등교원양성대학의 교육서비스품질과 학생만족도 및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로 인한 인지변화 척도 개발
- Peters 동기이론의 도덕교육적 의의
-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자연친화 감각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성 및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다도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강점에 관한 연구
- 푸코의 ‘규율권력’과 교육의 장에서의 ‘감시와 처벌’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에 관한 척도 문항 개발
- 초등학교 저학년 여학생의 체육수업을 통한 정서 경험 탐색
- 대학 글쓰기교육에서의 장르문식성 제고 방안 연구
- 성인의 놀이, 키덜트 문화에 대한 고찰
-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학생 인식과 진로교육의 방향모색
-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발달궤적 및 예측요인
- 만5세 유아의 그림책 인물 표현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