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f House Occupancy and Size Choices among Generations -Cases of Baby boom, Elderly, and Echo Generations-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 저자명
- 김경연(Gyung-yeon Kim) 정동준(Dong-Joon Jeong)
- 간행물 정보
- 『부동산 도시연구』제10권 제1호, 97~11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주택점유와 주택규모에 대한 선택 결정요인을 베이비붐 세대, 노년세대, 에코세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주택점유형태에서는 세대별 공통적으로 가구주의 나이가 많을수록, 주택가격이 높을수록 자가를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인 가구일수록 임대를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도에 따라 베이비붐세대 및 노년세대는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자가를 선택한 반면 에코세대는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자가를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별 자가 주택 소유 시에는 주택담보대출을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규모 선택에서는 세대별 공통적으로 1인 가구일수록 주택의 규모를 작게,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주택의 규모를 크게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베이비붐세대와 노년세대는 가구원수가 많고, 가구주의 나이가 많으며, 직업이 있고, 가구주의 성별이 남자일 경우 주택의 규모를 크게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 세대별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주거에 대한 개발 방향과 정책 방향을 수립하여 차별화된 주거선택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house occupancy and house size choices by three different generations, baby boomers, the elderly, and the echo generation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households in these generations tend to choose to own their homes as the head is older and the house is more expensive and that one-person households tend to rent their homes. It is also found that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elderly generation are likely to choose to own their houses as their educational attainment is lower; however, the eco-generation’s occupancy choice is the opposite to the choices of the other generations. Regarding the choice of house size, the household in all three generations tends to select a smaller house if the household consists of only one person, and a larger house if the head’s educational attainment is higher.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elderly generation tend to choose a larger house if the household has more family members, the head is older, has a job, and is male. The results have an implication that customized housing policies are needed to provide housing based on each generation’s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목차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세대별 주거선택 관련 선행 연구 분석
Ⅲ. 연구 설계, 모형의 추정 결과 및 실증 분석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동산도시연구 제10권 제1호 부록
- 서울시 다세대 주택의 분양가격 결정요인 분석
- 감정평가법인의 청렴성 측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중⋅고령자 가구의 자산보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고찰
- 외국인 임대용 주택의 분양가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세대별 주택점유와 주택규모 선택에 관한 실증 분석
- 대출제약이 청년가구의 주택 점유형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개특성이 주택판매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아파트 전매 프리미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부동산도시연구 제10권 제1호 차례
- 부동산 산업의 생산함수 추정 및 규모의 경제에 대한 분석
- 제주도 부동산 하위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