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st-Benefit Analysis of Groundwater: Pumping Wells in Korea
이용수 23
- 영문명
- 지하수의 경제성 평가 연구: 지하수 관정을 중심으로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Sun Geun Kim(김선근)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7권 3호, 219~22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국의 지하수 관정은 2012년 기준 1,474 천 개소이며 지하수 이용량이 총 용수 이용량의 12%를 차지하고 있다. 수자원장기기본계획은 2021년 전국 용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지하수 이용이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하수 활용을 위한 인공함양이나 강변여과 보다 관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므로 관정의 경제성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관정에 의한 지하수자원 활용이 경제적인지 아닌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관정의 편익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첫째, 활용가치로 음용수 및 농공용수의 공급가치, 둘째 비활용 가치로 잠재활용 대비 미래를 위한 부존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비용은 관정의 설치비용 및 교체비용, 관리비용, 그리고 폐공의 환경오염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한다. KDI의 수자원사업 예비타당성 가이드라인과 미국 환경청 그리고 세계은행의 지하수자원 비용-편익분석 모델을 원용하여 관정의 비용편익 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지하수 관정의 편익이 비용보다 2.98배 높아 지하수 관정에 의한 지하수자원 공급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Korea, there are 1,474 thousand pumping wells nationwide which account for about 12% of total water use in 2012.
As much as 39 hundred million tons of groundwater were used while 333 hundred million tons of total water were sup-plied in 2012. Because the water management authority projects that water demand will exceed supply by 2021, the authority is planning to extensively expand groundwater use in accordance with economic feasibility. Using the basic frameworks of cost-benefit analyses of the World Bank and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sts and benefits of the expansion of Korea’s groundwater extraction through pumping wells. We conclude that the BC ratio of the groundwater pumping wells is 2.98. This signifies that the benefits are 2.98 times higher than the costs. The benefits include use and non-use values of pumping wells while the costs includ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new wells, in addition to the restoration and pollution costs of abandoned wells, as well as fees for water quality tests, etc.
목차
1. Introduction
2. Model
3. Results and Implicat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폴리머 공법 적용 불균질 저류층에서의 유효 압축률이 오일생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셰일가스 자원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에너지·광물자원 조사·탐사·개발 기술 정책분석
- 분쟁광물과 미국의 관련 정책분석
- 거시계량투입산출 모형을 이용한 광산품 수입대체의 경제적 효과 추정 연구
- A Cost-Benefit Analysis of Groundwater: Pumping Wells in Korea
- 논문 질적평가를 통한 KIGAM 세계수준 후보연구실 기술수준 평가
- 비재래 에너지자원 동향
- 백두산 화산 분화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적 손실 평가
- 육상 및 해상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시험에 대한 고찰
- 광물자원 조사 및 광상분야 연구 추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