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폴리머 공법 적용 불균질 저류층에서의 유효 압축률이 오일생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13
- 영문명
- The Analysis for the Effect of Effective Compressibility on Oil Recovery in Polymer Flooded Heterogeneous Reservoir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백수현(Soohyun Baek) 정우동(Woodong Jung) 성원모(Wonmo Sung) 서준우(Junwoo Seo)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7권 3호, 247~25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불균질한 자연균열 저류층에서 암체의 압축률은 매우 작은 값을 가지는 반면에 균열의 압축률은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다. 균열의 압축률을 포함한 유효 압축률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균열의 간극 변화로 인한 공극 부피의 변화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오일 회수를 예측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암체의 압축률만을 고려하여 오일 회수를 분석했던 것과 달리, 암체와 균열의 압축률을 모두 고려한 유효 압축률을 적용해서 오일 회수량을 분석하였다. 폴리머 공법에서 균열의 압축률이 폴리머의 주입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폴리머의 분자량, 농도, 주입속도에 따른 오일 회수량을 분석하였다. 유효 압축률을 고려할 경우 폴리머 분자량, 농도, 주입속도가 높아질수록 유효 압축률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고려한 경우보다 누적 오일 생산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저 압력의 경우에도 유효 압축률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고려한 경우보다 빠르게 급감하여 오일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compressibility of fracture in naturally fractured reservoir is larger than the compressibility of matrix in rock, although the compressibility of a typical rock is very small. The effective compressibility including the fracture compr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to predict oil recovery correctly. It is hard to quantify changes of fracture aperture and pore volume in reservoir without the effective compressibility. In this study, oil recovery is analyzed by commercial simulator concerning the fracture compressibility based on fracture properties. We found that the effective compressibility affects oil recovery with change of polymer flooding factors such as polymer molar weight, concentration and injection rate. The estimated cumulative oil production is smaller with the effective compressibility than without it. Also, bottomhole pressure decreases rapidly without considering effective fracture compressibility.
목차
1. 서 론
2. 저류층 모델 설정 및 입력 자료
3. 결과 분석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폴리머 공법 적용 불균질 저류층에서의 유효 압축률이 오일생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셰일가스 자원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에너지·광물자원 조사·탐사·개발 기술 정책분석
- 분쟁광물과 미국의 관련 정책분석
- 거시계량투입산출 모형을 이용한 광산품 수입대체의 경제적 효과 추정 연구
- A Cost-Benefit Analysis of Groundwater: Pumping Wells in Korea
- 논문 질적평가를 통한 KIGAM 세계수준 후보연구실 기술수준 평가
- 비재래 에너지자원 동향
- 백두산 화산 분화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적 손실 평가
- 육상 및 해상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시험에 대한 고찰
- 광물자원 조사 및 광상분야 연구 추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