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거시계량투입산출 모형을 이용한 광산품 수입대체의 경제적 효과 추정 연구
이용수 46
- 영문명
- A Study on Estimation of Economic Effects on Mining Products Import Substitution Using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지환(Ji-Whan Kim) 이경한(Kyung-Han Lee) 김윤경(Yoon Kyung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7권 3호, 237~24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의 투입산출표와 거시계량경제모형을 연계하여 산업부문에 발생한 충격의 효과가 거시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모형화 하였으며, 모형을 통해 광산품 부문의 수입대체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였다. 구축한 모형의 전반적인 개요는 거시계량경제모형을 구축하고 산업연관표를 통해 도출된 피용자보수를 국민 계정상 가처분소득의 대리변수로 이용하여 두 분석틀을 연계하였다. 거시계량경제모형은 한국은행이 작성한 1997년 기준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한국은행 모형을 통해 수정 및 보완하여 2011년 기준의 연간 거시계량경제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산업연관분석과 연계되는 가처분소득과 총취업자수 부분을 수정도입하였다. 산업연관표 부분은 2005년 ~2011년의 통합대분류 경상표 및 그 계수표를 이용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적용하여 광산품 중간투입 중 1%의 수입 대체가 미치는 경제효과를 추정하였는데, 2011년 기준으로 GDP 0.00073% 증가, 경상수지 0.01040% 증가, 실업률 0.00233%p 감소의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거시변수를 이용하여 지출측면 중심으로 활용되던 거시계량경제모형 에 산업연관표를 활용함으로써 산업 수준의 충격과 투입부문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t is estimated how many changes of macroeconomic variables are happened under the proposition of import substitution of mining products 1% using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For this, used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is composed of 141 behavioral equations representing the macroeconomy structure.
In general, macroeconometrics models are constructed mainly on the side of the expenditure then it is not easy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shocks occurred from industry level. To mitigate that, this study tries to construct a mac-roeconometric input-output model. Macroeconometrics model which is useful to estimate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shocks, economic policy and more, in this study, is linked with input-output table through the NDI(national disposable income) derived from compensation of employee. And this paper presents the estimation results of import substitution effects of mining products on Korean economy. As a results, GDP is increased 0.00073%, gross labor employed 0.00029%, current balanace 0.00010% and unemployment rate is mitigated 0.00233%.
목차
1. 서 론
2. 주요 선행연구
3. 모형의 구성
4. 모형의 추정 및 결과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폴리머 공법 적용 불균질 저류층에서의 유효 압축률이 오일생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셰일가스 자원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에너지·광물자원 조사·탐사·개발 기술 정책분석
- 분쟁광물과 미국의 관련 정책분석
- 거시계량투입산출 모형을 이용한 광산품 수입대체의 경제적 효과 추정 연구
- A Cost-Benefit Analysis of Groundwater: Pumping Wells in Korea
- 논문 질적평가를 통한 KIGAM 세계수준 후보연구실 기술수준 평가
- 비재래 에너지자원 동향
- 백두산 화산 분화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적 손실 평가
- 육상 및 해상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시험에 대한 고찰
- 광물자원 조사 및 광상분야 연구 추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