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문화사의 역사인식에 기초한 역사교재 재구성과 활용
이용수 78
- 영문명
- Re-organizing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and Its Use from a Perspective of New Cultural History - Focused on the Social History Division of Choseon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저자명
- 안병갑(Ahn Byung Ghab)
- 간행물 정보
- 『역사교육연구』제2호, 95~13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역사 연구의 본연의 목적이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하는 것에 있다고 보고, 지금까지의 역사교육이 특정 권력층을 중심으로 한 정치사나 거대 담론을 바탕으로 한 구조사의 그늘에서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이야기하지 못했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최근 포스트모더니즘 논쟁과 함께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신문화사(The New Cultural History)’에 주목하여, 여기서 나타난 역사인식의 특징들을 역사교육에 접목하고자 했다.
역사 인식의 초점을 기존 정치사나 사회사에서 소외시켰던 다양한 ‘인간’들의 삶의 흔적인 문화에 두고, 그것을 여러 시선에서 두껍게 읽어내려는 최근 역사학의 새로운 경향인 신문화사는 분명 역사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여기서는 고문서와 일기, 검안 및 소송관련 문건 등의 문자 자료와 풍속화, 민화, 민담, 민요 등 비문자 자료 등을 활용하여 교재를 재구성해 보고, 이를 이용한 수업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of history is to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human beings. But the study of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have focused mainly on the politics of power groups and the history of structure based on grand discourses, overlooking other aspects of human beings. If historical studies can achieve its proper purpose, it should go beyond dealing just with what is politically powerful.
A new answer to this task of history studies can be what is called new cultural history, a new view which has been recently under active discussion in relation with postmodernism. New cultural history is a new trend in the field of history, which began to doubt the history as a progress and a history as a science in the middle of 1970s and tries to interpret in a new way the cultures of everyday life of people which had been neglected by the past approaches of political or socio-economic history. It has common characteristics in its view of history, which are as follows:
First, they have interest in culture as human experience as a whole and tend to interpret it thickly . Second, they adopt a kind of micro-view, seeing history through small things of everyday life. Third, they try to find the meanings of historical facts through paradigma indiziario with interest in the events of eccezionalmente normale . Lastly, they takes the method of showing the survey processes of the history writers and their ideas on them using the form of narratives.
Which material can we use when we apply this new approach to the teaching history? I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and teaching method, but this study shows that the written materials like ancient document, diary, Geoman and the document about lawsuits and nonverbal materials such as genre paintings, folk tales, folk songs are worth to be used.
Lastly in this study the way to apply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new cultural history to the history education is sought based on the material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is study gives the examples of how to teach t is expected that various materials covering all the era of the history need to be found , investigated and reconstructed systematically through the follow-up study. Furthermore, the effect of using the materials should be proved by applying them to the class,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study to go beyond the theoretical discussion to the stage of verification.
목차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신문화사의 역사인식 특징
Ⅲ. 신문화사적 역사 인식을 보여주는 자료 모색
Ⅳ. 신문화사의 역사인식에 기초한 교재의 재구성과 활용
Ⅴ. 맺음말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