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사적 장소 학습과 과거 기억의 문제

이용수  110

영문명
Place Learning in History and Memory of the Past -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presentation of a Historical Place -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류현종(Ryu Hyun Jong)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2호, 177~219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역사적 장소는 학생들이 쉽게 과거에 감정이입하여 역사적 지식을 생산하는 맥락을 제공한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역사적 장소는 그 의미가 예부터 정해져 있었던 자연물이 아니다. 현재에 선호된 과거를 계속 구성하려 하기 때문에 역사적 장소는 특정 인물, 사건, 행위들에 대한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매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적 장소 학습을 할 때, 우리가 역사적 장소에서 어떤 사람들, 사건들, 과거를 불러내고 있으며, 또한 불러내야 하는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연구는 역사적 장소 학습에서 과거 기억 문제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역사적 장소 체험을 기억 문제와 더불어 논의하며 역사적 장소 학습의 현실과 방향을 검토하였다. 역사적 장소 학습의 현실 파악은 초등학생들이 역사적 장소를 어떻게 재현하며, 또한 어떤 기억들을 불러내어 과거를 활용하는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체험학습 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현장학습 소감문 138개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역사적 장소 재현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서대문형무소의 관리된 공식 기억을 불러내어 내면화하고 있었다. 이런 내면화는 서대문형무소의 전시 공간 및 배치에 숨어 있는 상징 및 이미지 전략을 따랐기에 가능했다. 또한 과거 기억 소환 방식은 어느 정도 과거 기억 처리 방식에도 영향을 미쳐 민족적, 감정적 과거 처리 방식을 보였다. 학생들의 역사적 장소 재현 분석을 바탕으로 역사적 장소 학습 방향에 몇 가지 시사를 받을 수 있었다. 첫째, 역사적 장소 학습은 역사적 장소에 담긴 경관들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과거 사실들을 정리하는 학습을 넘어서 과거 기억을 문제 삼아야 한다. 둘째, 역사적 장소 학습에서 특정 과거 기억을 불러내는 매체 자체에 대한 탐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역사적 장소 학습은 과거 기억을 보다 비판적인 관점에서 활용하여 현재와 미래 삶을 보다 전향적으로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역사적 장소 학습의 방향은 역사적 장소가 재현하고 있는 기억이 “누구의 기억이며,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우리는 어떤 기억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따져보는 ‘메타기억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역사적 장소학습이 ‘현장학습’을 넘어서야 하는 이유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place and the memory of past on the basis of thinking that the problem of past memory is important in experience of historical place. For this, essays written by elementary school forth-graders, which visited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y internalize official memory administrated by the place and deal with the memory on national and emotional domain. This suggests the direction of historical place learning. That is, historical place learning must concentrate on the learning like questioning whose memory is represented in historical place, identifying who makes memory, and considering how the memory must be used. After all, historical place learning must orient meta-memory learning which makes an issue of memory itself.

목차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역사적 장소 학습에서 ‘기억’의 문제
Ⅲ. 역사적 장소 학습의 현실: 서대문형무소 재현과 과거 기억
Ⅳ. 맺음말: 메타기억 학습을 지향하며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현종(Ryu Hyun Jong). (2005).역사적 장소 학습과 과거 기억의 문제. 역사교육연구, (2), 177-219

MLA

류현종(Ryu Hyun Jong). "역사적 장소 학습과 과거 기억의 문제." 역사교육연구, .2(2005): 177-2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