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발생한 중복 중심와 오류 1예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of Double Fovea Artifact Detected with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효송(Hyo Song Park) 정현교(Hyun Kyo Jeong) 신우범(Woo Beom Shin) 양종윤(Jong Yun Ya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8, 1003~100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발생한 중복 중심와 오류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9세 남자가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최대교정 시력은 양안 1.0이었으며, 안압은 정상이었다. 안저검사와 안저촬영,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안저검사와 안저촬영상 정상 중심와가 확인되었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상 우안에는 수직상으로 위치한 한 개의 중심와 오류가 발견되었다. 좌안에는 각각 수직상 및 수평상으로 위치한 두 개의 중심와 오류가 관찰되었다. 내원 2주 후 같은 기계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재검사가 시행되었고, 이때 검사 중 시선 고정이 잘 이루어지도록 검사 전 설명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양안에서 모두 하나의 중심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해부학적 중심와 위쪽에 발생한 중복 중심와 오류는 주로 환자의 시선 고정 실패에 의해 발생한 환자 오류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복 중심와 오류가 발견되었을 경우 반드시 환자에게 검사 전반과 주시에 대한 재교육을 거친 후 환자의 협조하에 같은 기계와 프로 토콜로 재검사를 시행하여 오류 여부를 분명히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a case of double fovea artifact on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was reported. Case summary: A nine-year-old male presented with blurred vision of both eyes. Hi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20/20 in both eyes, and complete ophthalmologic evaluation including fundus examination and fundus photography revealed no abnormality in both eyes. He underwent SD-OCT imaging with the Cirrus HD-OCT. The Macular Cube 512 × 128 protocol of his right eye revealed an unusual pseudo-duplication of the fovea in the vertical meridian. The same protocol in his left eye also ren-dered a pseudo-duplication of two fovea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eridians on the retinal thickness map. Re-examination with the same OCT system and protocol was performed two weeks later after the patient received counseling on fixation during the examination, and it revealed normal contour of the fovea in both eyes.
Conclusions: Double fovea artifact seen in SD-OCT is a rare artifact that can possibly lead to misdiagnosis and inappropriate clinical treatment. Since the artifact was resolved with better fixation of the patient, repeating the scan with better patient com-pliance is necessary when such an artifact is encountered.
목차
증례보고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갑상선 안병증 환자와 녹내장환자의 맥락막 두께 분석
- 유두절제술과 양막이식을 이용한 난치성 봄철각결막염의 치료 1예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발생한 중복 중심와 오류 1예
- 인지 기능과 녹내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스마트폰을 활용한 안저촬영
- 안과적 이상을 동반한 Williams 증후군 2예
- 점안 인터페론 Alpha-2b로 재발을 억제한 재발 점액종성 각막변성 1예
- 한국인의 각막 전면, 후면난시 축의 분포와 연령에 따른 변화
-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형광안저혈관조영과 빛간섭단층촬영의 소견
- 주기외사시 치험 1예
- 메티실린 저항성에 따른 황색포도알균 각막염에 대한 임상분석
- 복합모반의 임상양상
-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증명된 반성유전 어린선에서의 전부 데스메막 이영양증 2예
- 원발쇼그렌증후군에서 눈물 오스몰 농도와 눈 및 전신질환 관련 인자의 상관관계
- 혈관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정상인과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의 망막중심오목 무혈관부위 분석
- 혈관전기소작 및 결막하 베바시주맙 주사를 통해 호전된 각막 신생혈관 환자 2예
- 다양한 백내장에서 수정체 전낭 및 상피세포의 조직병리학적 비교연구
- 편측 정상안압녹내장의 반대편 눈과 정상인의 눈과의 시신경 유두 기울기와 비틀림 비교
-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베바시주맙주입술 후 초기 시력 반응의 의의
- 후방유수정체안내렌즈 삽입술과 전층 난시교정각막절개술의 동시 수술의 단기간 임상성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