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92
- 영문명
-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경미(Koh, Kyung Mee) 이선경(Lee, Seon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3호, 397~41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3월 28일부터 4월 1일 까지 연구대상이 아닌 보육교사 20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2016년 4월 18일부터 5월 28일까지 6주간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과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무만족도의 하위요 인인 직무자체가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미쳤고 동료관계, 원장과의 관계, 보수와 승진이 순서대로 영향을 미쳤다. 보육교사의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에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인 직무자체가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쳤고 동료관계도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증진이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we first conducted a pilot survey of 20 non-study subject childcare teachers from March 28 to April 1, 2016 and then conducted a survey of 237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the nurseries located in Gwangju City for 6 weeks from April 18 to May 28,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Second, the job itself,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colleague relation,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teachers’ compensation, and their promotion influenced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at order. The job itself has the strongest influence also on the family-teacher communication and the colleague relation also has meaningful influence. These results can serve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motion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hil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문 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보건/비보건계열 대학생의 남자간호사 인식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에 따른 저소득층 학생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발달 추이 탐색
-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
- 환경교육실무자 핵심직무역량 연구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뭐’ 사용 분석 및교육 연구
- 교육공동체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 분석
-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여자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동화에 나타난 비장애형제의 장애형제에 대한 인식
-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수준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학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 소집단 활동 중심 융복합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
- 사회적 참여 관점에서 되짚어본 미술관 체험 전시 사례 연구
-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돌봄교실 내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사례
-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조절(co-regulation)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학 자아개념, 수학 학습동기, 인지부하, 수학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모형의 개발
-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학습공동체 참여 효과와 경험
- 유-초 연계를 위한 어머니의 유아교사 역할기대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 스토리텔링 기반의 아동용 스마트토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연구
- 초등 예비 교사들의 영어 교수·학습 과정안의 문제점과 보완 방향
- 부모교육 참여정도와 기관만족도 및 교육공동체 인식 비교 연구: 유아 부모와 초등 부모를 대상으로
- 댓글을 활용한 사회과 웹 기반 NIE 사례 개발 -초등 사회과 정치 단원을 중심으로-
- ‘도서관 운영’ 프로젝트를 통한 유아들의 공중 (the pubic)되기: Dewey의 공공성 개념을 중심으로
-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다문식성 교육(multiliteracies pedagogy) 분석
- 중학생의 성 경험 영향요인
-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자기효능감 차이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