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이용수 489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향종(Lee Hyang J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3호, 295~3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5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중 503명을 성별, 학년별을 고려하여 임의적 방법으로 표집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 20.0을 활용하여 기술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 하여 주요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통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서 학업스트레스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학년은 2학년, 3학년이 1학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울의 성별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학년은 3학 년이 1학년, 2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학업스트레스와 매개변수인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종속변수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를 제시하였고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otal of 503 middle school students in 5 middle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as subjects. Techn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 WIN statistical program 20.0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e parameter an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tress wa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among boys, and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showed higher levels of academic stress than the first grade students. In terms of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male students, while third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first and second graders. Second, after analyzing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negative automatic thinking,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s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Finally, implication this study is presented and limitations and further studies is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문 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보건/비보건계열 대학생의 남자간호사 인식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에 따른 저소득층 학생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발달 추이 탐색
-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
- 환경교육실무자 핵심직무역량 연구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뭐’ 사용 분석 및교육 연구
- 교육공동체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 분석
-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여자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동화에 나타난 비장애형제의 장애형제에 대한 인식
-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수준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학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 소집단 활동 중심 융복합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
- 사회적 참여 관점에서 되짚어본 미술관 체험 전시 사례 연구
-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돌봄교실 내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사례
-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조절(co-regulation)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학 자아개념, 수학 학습동기, 인지부하, 수학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모형의 개발
-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학습공동체 참여 효과와 경험
- 유-초 연계를 위한 어머니의 유아교사 역할기대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 스토리텔링 기반의 아동용 스마트토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연구
- 초등 예비 교사들의 영어 교수·학습 과정안의 문제점과 보완 방향
- 부모교육 참여정도와 기관만족도 및 교육공동체 인식 비교 연구: 유아 부모와 초등 부모를 대상으로
- 댓글을 활용한 사회과 웹 기반 NIE 사례 개발 -초등 사회과 정치 단원을 중심으로-
- ‘도서관 운영’ 프로젝트를 통한 유아들의 공중 (the pubic)되기: Dewey의 공공성 개념을 중심으로
-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다문식성 교육(multiliteracies pedagogy) 분석
- 중학생의 성 경험 영향요인
-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자기효능감 차이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