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
이용수 1,404
- 영문명
-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Skills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sign for Skills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of Foreign Social Studies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영(Yoon, JiYoung) 온정덕(Ohn, JungD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3호, 315~34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15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고 외국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교과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역량과 기능, 지식과 기능의 관계를 검토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역할을 정립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역량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호주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두 국가는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학습할 기능을 ‘탐구’로 설정하고, 둘째, 사회과 지식과 기능이 상호 긴밀한 관련을 가지도록 교육과 정을 구성하였다. 셋째, 기능 영역은 탐구 단계 및 학년(군)에 따라 학생들이 갖추기를 기대하는 수준으로 계열화되었으며. 넷째, 탐구 과정 속에서 사회과 고유의 기능을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마지막으로 탐구 과정을 학습하는 것이 어떤 역량의 계발과 관련되는지 명시함으로써 역량과 기능의 관계를 밝히고 있다. 호주와 온타리오 주의 기능 설정 및 교육과정 제시 방식은 교과 기능을 통해 역량 함양을 추구하는 교과 교육과정 설계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the role of skills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s in order to get th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To achieve the purpose, we first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skills, knowledge and skills in detail to define the meaning and the role of skills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we critically examined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Korean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 Then, we drew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y comparing it with the Australian HASS curriculum and Canada Ontario SS Curriculum. Implications drawn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as the following.
First, both the Australia and Ontario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 highlight importance of inquiry skills and specify the inquiry skills as learning content. Second, the documents provided the ways of integrating knowledge and skills. Third, the inquiry skills as learning content included skills applied to specific areas in social studies.
Fourth, inquiry skills are categorized into five components(questioning, researching, analys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and the sequence of content in each component is presented in the document. Fifth, the documents presented how the learning of inquiry skills is related to key competenci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subject curriculum design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과 지식과 기능의 관계
Ⅲ. 2015 개정 사회과 ‘기능’ 선정 및 제시방식 분석
Ⅳ. 호주와 캐나다 온타리오 주 사회과 ‘기능’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문 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보건/비보건계열 대학생의 남자간호사 인식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에 따른 저소득층 학생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발달 추이 탐색
-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
- 환경교육실무자 핵심직무역량 연구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뭐’ 사용 분석 및교육 연구
- 교육공동체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 분석
-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여자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동화에 나타난 비장애형제의 장애형제에 대한 인식
-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수준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학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 소집단 활동 중심 융복합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
- 사회적 참여 관점에서 되짚어본 미술관 체험 전시 사례 연구
-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돌봄교실 내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사례
-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조절(co-regulation)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학 자아개념, 수학 학습동기, 인지부하, 수학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모형의 개발
-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학습공동체 참여 효과와 경험
- 유-초 연계를 위한 어머니의 유아교사 역할기대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 스토리텔링 기반의 아동용 스마트토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연구
- 초등 예비 교사들의 영어 교수·학습 과정안의 문제점과 보완 방향
- 부모교육 참여정도와 기관만족도 및 교육공동체 인식 비교 연구: 유아 부모와 초등 부모를 대상으로
- 댓글을 활용한 사회과 웹 기반 NIE 사례 개발 -초등 사회과 정치 단원을 중심으로-
- ‘도서관 운영’ 프로젝트를 통한 유아들의 공중 (the pubic)되기: Dewey의 공공성 개념을 중심으로
-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다문식성 교육(multiliteracies pedagogy) 분석
- 중학생의 성 경험 영향요인
-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자기효능감 차이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