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행 부당노동행위법에 대한 일고찰
이용수 86
- 영문명
- An Inquiry into Some Legal Issues at the Unfair Labor Practice Law
- 발행기관
- 경희법학연구소
- 저자명
- 강희원(Kang, Hee-Won)
- 간행물 정보
- 『경희법학』제42권 제2호, 63~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unfair labor practice is institutionalized in the sixth chapter of the act on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 conciliation. It was imported from Japan. The Japanese unfair labor practice was a Japanization of the American unfair labor practice in the American occupation following the second world war defeat.
The act on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 conciliation provides that the worker and his labor union can make a motion to the Labor Relation Commission for a administrative remedy against the employee s unfair labor practice. In the
application of this administrative remedy of unfair labor practice, there are many problems which are brought about in the legal systematical perspectives as well as in the legal practical aspects.
In this article has an attempt been made to present some problems critically in the legal systematical and practical levels, for example,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the remedy system for unfair labor practice, the institutional purpose of the unfair labor practice, the relation of the court and the labor relation commission in the remedy for unfair labor practice, the legal measure for guarantee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medy order of the labor relation commission, the function and limitation of labor injunctions as judicial remedy, the legal function of the article 81, the act on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 conciliation in legal proceedings of suiting against the employee for a wrongful dismissal in the court, etc.
Among these above problems, the most important is the fundamental dogmatical question, how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the remedy system for unfair labor practice should be justified and explained in the relation to the institutional purpose of the unfair labor practice in the act on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 conciliation.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Ⅲ. 부당노동행위의 유형화와 그 주체
Ⅳ. 유형별 개별적인 문제
Ⅴ. 부당노동행위의 구제
Ⅵ. 부당노동행위자에 대한 형사처벌: 부당노동행위의 범죄화 문제
Ⅶ. 여론: 부당노동행위의 주체로서 국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기간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절차에서의 국회의원의 당사자능력과 제3자소송담당
- Privacy Issues and Public Opinion in Korea
- 형법 제1조 제2항에 관한 판례 소고
- 취재의 자유와 언론의 取材源接近權 논의
- 과실불법의 요소인 주의의무의 성격과 기준
- 국제범죄수사의 효율성 제고방안
- 중국에서 국제물품매매협약의 준거법 지정에 관한 고찰
- 주요 약관심결례의 쟁점 분석
-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의 제문제
- 북한에서의 국제법의 국내법적 지위 및 효력에 관한 소고
- 韓美 公訴時效制度 比較硏究
- 주식회사 내부자의 자기거래에 관한 연구
- 파산관재인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인터넷상거래에 있어서의 소비자보호
- 설명의무의 법적지위
- 물권의 특징 및 관련 판례 검토
- 상법개정안상의 교부금합병에 대하여
- 쿠키(cookies)의 법적문제
- 뇌사와 장기이식의 형법적 문제
- 金錢과 金錢債權의 特質
- 법적 허구와 실체
- 저작권 보호기간 연장에 관한 검토
- 청소년범죄의 형사법적 대책과 검사의 역할
- 현행 부당노동행위법에 대한 일고찰
- 국민투표에 관한 헌법적 고찰
- 任意競賣節次의 配當에 관한 몇 가지 爭點
- 특정승계(特定承繼)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BEST
더보기법학 > 민법분야 NEW
- 계간 저작권 150호(38권 2호) 목차
- 생성형 AI와 저작권 문제 - 저작권 침해와 저작물성의 사례와 분석
- K-팝 안무의 저작권 보호와 법적 과제 - 창작성, 계약 구조, 권리자-이용자 관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