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중심 융합 교육의 전제 및 내용 구성 층위 연구
이용수 196
- 영문명
- The Premise and The Level of Content Organization in Language-Based Convergenc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지수(Lee Ji su)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1輯, 175~19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the question: on what level can educational contents be created in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Korean language. In the end, convergence education has methodological nature that promotes
verbal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based convergence education and verbal creativity, and, according to essence and principles of language, classified the contents of language-based convergence education into ‘concept, vocabulary, content/the way of thinking and text.’ Subsequently, the study proposed contents of education that can improve internal abilit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within each category, and abilities related to other subjects based on the instrumentality of Korean language.
목차
1. 논의의 필요성
2. 언어 중심 융합 교육의 전제
2.1. 언어활동 중심의 ‘언어적 창의성’
2.2. ‘창의’와 ‘융합’의 관계 맺음
2.3. 교과 교육으로서의 융합 교육
3. 언어 중심 융합 교육의 층위
3.1. 목적에따른융합의방향성변별
3.2. 언어중심융합교육의내용구성층위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